1월 27일 LS일렉트릭이 대만 교통부 철도국이 발주한 490억원 규모 타오위안 ‘푸신역(Puxin)~잉거역(Yingge)’ 구간 철도신호시스템 구축 사업자로 선정 됐다고 밝혔다. 2022년 10월 2,700억원 규모 대만 도시철도 전력시스템 공급에 이어 이번 사업 수주에도 성공하며 현지 시장 주도권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만 최대 국제공항이 위치한 타오위안 지역 철도 광역화를 위한 지하화 계획에 따라 ‘푸신역~잉거역’ 구간에 임시 궤도 24km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013년 타이동 일반철도 지역 신호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작으로, 2015년 타이동 차량기지, 2019년 타이난 임시궤도, 2021년 카오슝 도시철도 레드라인 전력시스템, 2022년 카오슝 도시철도 옐로우라인 전력시스템 공급 등 잇달아 수주에 성공하며 현지 누적 수주액은 4,000억원을 넘어섰다. LS일렉트릭는 “글로벌 메이저 기업 중심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대만 철도시장에서 기술력과 신뢰성을 인정받아 꾸준한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 라며 “대만은 기존 철도 인프라 개선과 도시철도 신설이 예정돼 있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지난 1월 12일(현지시간) DPA통신은 자동차 부품기업 보쉬(Bosh)가 중국에 새로운 연구개발(R&D)센터를 설립해 신에너지차와 자율주행용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보쉬는 이 회사가 계획한 총 투자액은 약 9억 5,000만 유로(원화 약 1조 2,681억 원)으로 강소성 쑤저우에 투자해 중국 자동차 기업들을 주요 고객으로 대상으로 2024년 중 완공을 목표로 한다. 보쉬그룹 스테판 하톤 이사회 의장은 성명에서 “쑤저우(강소성)의 새로운 첨단 연구기지구축으로 현지 시장에서 연구개발과 제조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쉬는 이미 중국 쑤저우에 여러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쑤저우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제조‧연구개발지 중 하나다.
앤트 파이낸셜 그룹(Ant Financial Group)의 구조조정안이 발표됐다. 지난 1월 7일 발표된 지배구조 조정안에는 창업주이자 1대 주주인 마윈(Mǎ Yún)의 직간접 지분이 53%에서 6%로 낮아지고 1대 주주가 없는 균등지배형태가 된다. 지배구조 조정전에 앤트 파이낸셜 그룹(이하 ‘앤트 그룹’)은 마윈과 다른 3명의 주주가 공동이해관계인으로 각각 마윈이 34% 나머지 3명이 22%씩 지분을 가지고 항조우윈보투자회사의 지배권을 가지고 이 회사가 다시 2개의 자회사를 지배하면서 각각 31.04%, 22.42%의 지분 보유해 마윈이 실제로 53.46%의 지분을 통제해 1대 주주로서 경영권을 행사했다 지배구조 조정 후에는 마윈과 3명의 주주는 그간 공동행동을 하는 공동이해관계인 계약을 해지하고 지분양수를 통해 각 10%씩의 지분을 갖는 10명의 주주로 항조우윈보투자회사 지분을 2개의 회사로 분리했다. 10명의 균등주주는 공동이해관계인 계약을 모두 해지하고 각자 독자적인 권리를 행사하는 주주로 변화하게 된다. 즉 앤트 그룹은 마윈이 53%를 직간접으로 지배하던 회사에서 마윈은 6.2%의 지분만을 가진 주주로만 남도록 되는 것이다. 이는 앤트 그룹과 알리바
중국의 저가형 자동차가 멕시코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2022년 중국 자동차는 멕시코의 1위 공급 국가가 되면서 미국을 2위로 밀어냈다. 멕시코는 2022년 1~11월동안 세계 각지에서 총 65만 1,710대의 자동차를 수입했고 이중 23.6%인 15만 3,707대가 중국에서 제조된 자동차다. 중국에서 제작된 자동차 브랜드는 총 8개 브랜드이며 이 중 5개가 중국 자체 브랜드다. 지난 2021년에는 인도가 멕시코의 1위 자동차 공급국이었지만, 미국이 다시 치고 올라왔으나 2022년이 끝나는 시기가 되자 중국이 선두에 서게 됐다. 2022년 1~11월 인도가 61,917대로 5위를 차지했고, 미국은 멕시코 시장의 2위 자동차 공급국으로 92,591대, 브라질이 88,592대로 3위, 일본이 65,714대로 4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베이징자동차, 치루아자동차(CHERY), 밍줴(MG), 지리자동차, 그리고 비야디(BYD)가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다. 멕시코 시장에서 2022년 자동차 판매 선두주자로 꼽히는 GM의 전략 중 하나가 미국 생산 차종 외에 중국 생산 차종이 멕시코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 브랜드 GM은 중국 상하이자동차그룹과 합작법인을 설
중국의 방역조치 완화에 2022년 12월 저장성 총 20개 경제무역단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출국해 180억 위안(원화 약 3조 2,961억 원) 이상의 수출 주문을 달성했다. 저장성 상무부 천즈청(陳志成) 부청장은 2023년 저장성 경제정책 브리핑에서 “올해 성의 대외개방정책은 대외무역 안정과 외자 안정을 계속 강조해 기업들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올해는 기업들이 보다 편리하게 ‘해외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국경)시장 유치단 1000개 이상, 연계기업 10,800개 이상 조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해외투자를 위한 ‘글로벌 유치의 해’ 행사를 전개해 성 전역의 ‘해외 진출’ 유치를 독려하고, 경비‧승인 절차 등에서 적극 지원하며, 출입국 편의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적 중 전시회 주문이 저장성 대외 무역 기업의 신규 고객 신규 주문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저장성은 전시회의 주요 시장 채널 확장 역할을 수행하고 기업이 해외 오프라인 국제 전시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며 100개 이상의 전시회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동시에 수출 신용 보증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완전한 재료
파나소닉홀딩스(HD)가 중국 시장 투자 계획을 밝히고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500억 엔(원화 약 4,85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금은 10개 이상의 가전 및 공조설비 공장을 신설하거나 증설해 중국 시장의 수요에 맞는 제품의 개발을 통해 2021년보다 20% 늘어난 1조 엔(원화 약 9조 7,159억 원)의 매출을 2024년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다. 미중무역분쟁과 코로나19 사태로 공급망이 혼탁해지자 일본 업체들 사이에서 부품 조달을 중심으로 탈중국 움직임이 확대됐지만 파나소닉은 중국을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시장으로 보고 오히려 공세를 펴고 있다. 파나소닉의 이번 투자는 2000년 이후 중국 가전 제품 사업에 대한 최대 규모로 18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에 새로 건설하는 가전공장이 2024년 저장성에 가동된다. 전자레인지와 밥솥 등 조리가전의 납품 규모를 연간 20억 위안(원화 약 1조 7,000억원)에 이르는 체제를 구축해 광둥(廣東)성의 미용가전 공장에 새 공장을 짓는 것 외에 이 성에 있는 에어컨 공장도 증설할 계획이다. 니혼게이자(日本經濟)신문은 일본 주요 제조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곳 중 5곳이 중국 구매
지난 1월 14일 일본 아사히신문이 “중국 공산당 관계자가 ‘일본의 방역 강화 조치가 너무 빨라 정치적 이용으로 비쳐졌다.’고 말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지난 12월 26일 중국 정부는 중국 국민의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전환 정책을 발표하면서 일상 속의 코로나19를 선언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12월 27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겠다는 방역정책을 발표했고, 이어서 한국, 미국, 유럽의 각국들이 차례로 방역 조치를 내놨다. 중국 정부는 1월 10일 한국‧일본 국민에 대해 중국행 비자 발급을 일시 중단했고 1월 11일에는 ‘도착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추가 조치를 행했다. 한국이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한 것과 달리 일본은 검사만을 의무화했을 뿐이기에 중국의 조치가 비례성의 원칙에 어긋난다며 중국의 비자 보복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중국은 일본과 유사한 검사 강화 등의 조치를 시행하는 미국, 영국, 이탈리아 등 서방 국가에 대해서는 보복하지 않았다. 주중 일본대사관과 영사관이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지난 12월 이후 비자 신청 접수를 중단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일본은 비자 접수를 재개한 상황이다
유동성 위기에 빠진 헝다 그룹의 회생을 위해 ‘쉬 자인’ 창업자가 “생존을 위한 새 챕터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월 3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쉬 자인 창업자는 신년사에서 헝다 그룹 직원들에게 “올해는 헝다 그룹이 기업으로서 의무를 다하고, 모든 방법을 동원해 성과를 내야 하는 중요한 해.”라고 말했다. 헝다 그룹은 지난 2022년 연말에 예고됐던 채무 구조조정 계획 발표를 또다시 연기하면서 파산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커진 이후에 나온 것이다. 헝다 그룹은 지난 2022년 732개의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301,000 개의 주택을 공급해 지난 2022년읜 목표치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2년 헝다 그룹의 연간 기준 매출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2022년 11월까지 집계된 헝다 그룹의 매출은 291억 위안으로 2020년 7,350억 위안에 비해 대폭 감소됐다. 한편, 쉬 자인 회장은 2023년의 구체적인 영업과 목표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았지다. 이어서 그는 “우리가 한 마음으로 일하면서 포기하지 않고 건설과 판매, 영업을 재개해 나간다면 올해는 여러 부채를 갚고, 리스크를 줄이며 목표를 달성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