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은 8월 7일 말레이시아 전력공사(TNB)와 풀라우인다 가스복합 발전사업에 대한 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사업은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서남쪽으로 60km에 위치한 셀랑고르주(州) 풀라우인다 섬에 총 용량 1200MW의 가스복합 발전소를 건설·운영하는 사업이다. 이번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생산된 전력은 향후 21년간 말레이시아 전력공사(TNB)에 전량 판매되며, 한전은 사업기간 동안 총 29억 달러(약 3조 5000억원)의 매출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되었다. 한전은 2017년 9월 말레이시아 TADMAX社와 풀라우인다 가스복합개발사업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한 후 2020년 1월 현지 정부로부터 최종 사업승인을 획득하였고, 4월에는 사업지분의 25%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말레이시아 풀라우인다 발전소는 2021년 1월 공사를 시작해 2024년 1월부터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며, 국내 건설사와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발전소 건설 및 관련 기자재를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 건설 컨소시엄이 발전소 설계와 구매, 시공을 일괄 수행하며, 국내 40여개 중소기업들과의 동반진출로 약 900억원의 경제효과가 예상된다. 이현찬 한전
삼성엔지니어링이 수행 중인 말레이시아 사라왁 메탄올 프로젝트에서 추가업무를 수주하며 연내 EPC 전환에 청신호를 밝히게 됐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달 30일, 말레이시아 석유화학회사인 사라왁 펫켐 사(Sarawak PetChem)로부터 '사라왁 메탄올 프로젝트 2차 초기업무(Sarawak Methanol Project Early Work Phase 2)'에 에 대한 낙찰통지서(LOA, Letter Of Award)를 접수했다고 31일 밝혔다. 업무범위는 일부 기자재 발주와 설계 및 초기공사 등으로 수주금액은 약 5550만달러(한화 약 660억원), 계약기간은 11개월이다. 이번 사라왁 메탄올 프로젝트는 말레이시아 동부 사라왁주(州) 빈툴루(Bintulu) 지역에 일일 5000톤 규모의 메탄올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 4월 기본설계(FEED: Front End Engineering Design)를, 같은 해 11월 1차 초기업무를 수주한 데 이어 이번에 2차 초기업무를 수주하면서 누적 수주금액은 약 8110만 달러(약 968억 7395만 원)로 늘어나게 됐다. 이로써 연내 약 10억 달러(약 1조 1945억 원) 규모의 본 EPC
"그는 '현대판 싯다르타'로 불릴 만하다." 말레이시아 재벌 2세가 6조 원 가량의 재산을 포기하고 승려의 삶을 선택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21일 홍콩 매체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태국에서 20년 넘게 승려 생활 중인 벤 아잔 시리파뇨 스님은 말레이시아 3대 부호 아난다 크리슈난의 외아들로 밝혀졌다. 글로벌 경제잡지인 포브스에 따르면 아난다 크리슈난의 자산은 53억 달러(약 6조 3500억원)에 달한다. 그는 시리파뇨 외에도 두 명의 딸을 두고 있다. SCMP에 따르면 시리파뇨는 18세에 수도생활을 시작했다. 18살 때 태국 출신의 어머니 가족을 만나기 위해 태국을 방문한 그는 당시 방문한 태국의 사찰에서 수도승의 삶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현재 20년 넘게 승려 생활을 하고 있으며, 태국의 다오덤(DtaoDum) 숲에 위치한 수도원에서 수도원장을 맡고 있다. 시리파뇨 스님은 영국 런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교육을 받았다. 그가 어릴 적부터 다양한 문화권을 접하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불교 수련 생활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또한 시리파뇨 스님은 영어와 태국어를 포함하여 8개 국어가 가능하다고
"말레이시아 현지 유명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바이어와 손잡고 K-FOOD 수출 이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말레이시아 현지 유명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바이어들로 구성된 한국농식품 바이어·유통업체연합회(MKBA, Malaysia K-food Buyer&Distributors Association)를 발족하며 앞으로 한국 농식품의 공동마케팅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월 23일 발족식 행사에는 주말레이시아 이치범 대사를 비롯하여 현지 유명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인 이세탄과 쇼피 등의 주요 바이어와 KMT 자야, 유로 아틀란틱 등 현지 수입바이어 13개사 등 총 30여 명이 참석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농식품 수출액은 고추장, 김치, 과일류 등이 현지에서 인기를 끌며, 6월 말 기준 6100만 달러(약 734억 4400만 원)로 전년 동기대비 약 21% 급성장하는 등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현지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고추장은 전년대비 2배, 김치는 1.5배 가까이 수출이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 이유로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은 말레이시아에서 온라인 마켓과
SK텔레콤과 글로벌 IT 기업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HPE)이 손을 잡고 함께 한국 5G MEC 기술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를 비롯한 해외로 수출한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21일 서울 을지로 SKT본사에서 HPE APAC 및 한국 HPE와 ‘MEC컨소시엄’ 구성에 관한 협력 계약서를 체결했다. MEC컨소시엄은 MEC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토탈 패키지로 구성해, 이를 원하는 통신사에 제공하게 된다. 컨소시엄에서 SK텔레콤은 MEC 소프트웨어를, HPE는 하드웨어 등 인프라 제공 및 현지 영업,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MEC컨소시엄은 동남아 이통사들에게 MEC 패키지를 우선 공급한다. 현재 말레이시아, 태국 통신사와 공급 계약 관련 세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추후 SK텔레콤의 글로벌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북미 · 유럽 소재 다양한 통신사에게 수출을 타진할 계획이다. ‘5G MEC’는 무선 데이터 전송 지름길을 만들어 클라우드 게임,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및 차량관제, AI/Data 컴퓨팅, 5G 로봇 등 초저지연 서비스의 성능을 높이는 5G 핵심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MEC 솔루션을 가상현실(AR, VR)에 접목하는 한편 아마존웹서비
신세계푸드의 ‘대박라면’이 말레이시아에서 대박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20일 신세계푸드에 따르면 글로벌 할랄푸드 시장 공략을 위해 말레이시아에 출시한 ‘대박라면’의 누적 판매량이 1000만개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까지 총 1040만개의 판매실적을 거뒀다. 품목별로는 2018년 3월 ‘대박라면’ 론칭시 첫 선을 보인 ‘대박 김치찌개’와 ‘대박 양념치킨’ 등 2종이 400만개를 기록했다. 2019년 3월 전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 중 하나로 불리는 부트 졸로키아를 넣어 출시한 ‘대박 고스트 페퍼’는 500만개, 지난해 10월 중남미 매운맛 고추인 하바네로를 활용해 출시한 ‘대박 하바네로 김치찌개’와 ‘대박 하바네로 스파이시 치킨’ 등 2종이 140만개다. 특히 말레이시아가 지난 2월 코로나19가 발생 이후 국가차원에서 매우 강력한 이동제한 조치로 생필품, 가공식품 등의 소비가 부진했던 가운데 ‘대박라면’은 현지 라면에 비해 2~3배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매월 20만개 이상 판매량을 이어갈 정도로 호응을 얻었다. 실제 ‘대박라면’의 가격은 4.2~5.8링깃(1,184원~1,635원)으로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판매되는 일반 라면에 비해 2~3배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말레이시아 국립소비자고충센터는 증가하고 있는 국제거래 소비자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7월 13일 온라인으로 ‘국경 간 거래 소비자불만 해결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립소비자고충센터(National Consumer Complaints Centre)는 말레이시아 통상소비자부에서 설립한 비영리단체로 소비자분쟁 해결지원, 역량강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소비자가 말레이시아 사업자의 상품·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피해를 한국소비자원에 접수하면 국립소비자고충센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반대로 말레이시아 소비자가 국내 사업자에 대해 불만이 있는 경우 한국소비자원이 해결을 지원하게 된다. 국경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불만은 언어와 시·공간의 제약, 적용 법률의 차이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한국소비자원은 2015년부터 주요 해외 소비자보호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을 통해 소비자상담 및 피해예방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불만의 해결을 지원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말레이시아에 시범 수출한 한국산 블루베리가 선박 운송 기간에도 신선하게 유지돼 현지 유통업체와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고 밝혔다. 수출 물량은 전남 장흥에서 생산된 블루베리 400kg이다. 지난해 7월 첫 시범 수출 이후 두 번째 수출 길에 오른 블루베리는 6월 19일 선적해 7월 2일 말레이시아 사바주에 도착, 현지 소비자와 만났다. 이번 시범 수출은 수확 초기 우수한 블루베리를 철저히 분류하고 신속한 예비냉장과 신선도 유지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선박 운송 기간 동안 열매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블루베리는 수확 시기가 장마기와 겹쳐 열매가 쉽게 물러지고 부패 과실이 많이 발생해 저장과 유통이 어려운 품목이다. 연구진은 수확한 블루베리에 신선도 유지제인 저농도의 유황 패드와 이산화염소를 처리하고 기능성필름(MA)으로 포장한 뒤 1℃에서 보관했다. 그 결과, 첫 수출에서 나타난 열매의 탈색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부패한 과실도 발생하지 않았다. 현지 유통업자는 블루베리의 단맛과 식감, 특유의 향미가 만족스럽고, 크기와 품질도 고르다고 평했다. 블루베리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등이 함유돼 있어 슈퍼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