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유니콘 기업인 1위 ‘고젝(Go-Jek)’과 2위 ‘토코피디아(Tokopedia)’가 합병해 탄생한 고투(GoTo Group) 그룹이 프리IPO(상장 전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14일 CNBC에 따르면 고투는 최근 13억 달러(약 1조5306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끌어들였다. 이번 투자 유치로 내년 상반기 예정된 고투의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가 탄력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주요 투자자로 구글-텐센트 등 글로벌 빅테크가 포진해 있다. 싱가포르 테마섹, 아부다비투자청(ADIA) 등 재무적 투자자도 투자에 참여했다. 아부다비투자청은 4억 달러(약 4718억 원)를 베팅했다. 이는 아부다비투자청이 동남아시아 테크 기업에 대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최초 사례다. 안드레 소엘리스티요 고투 최고경영자(CEO)는 “인도네시아와 동남아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성장 시장”이라며 “우리가 확보한 자금 규모는 고투의 시장 선도적 위치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신감을 입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투는 공모시장 데뷔를 통해 기업가치를 350억~400억 달러(약 47조 1800억 원)로 평가받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대 20억 달러(약 2조 3590억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지역인문학센터가 AsIA문화축제로 “인도네시아-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를 열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단장 박수진) 산하 AsIA지역인문학센터에서는 2021년 11월 11일 목요일부터 12일 금요일까지 아시아문화에 관심 있는 내·외국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인문행사인‘덩실덩실 AsIA문화축제’로 ‘인도네시아–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를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개최한다. 올해는 세계 인구 4위, 면적 세계 14위에 1만 7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누산따라)이자 다민족, 다언어, 다종교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배려하고 합심하여 다양성 속의 통합(상상의 공동체)을 잘 이루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특집으로 마련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잘 보존된 자연환경에 오랜 역사속의 다양하고 화려한 문화유산과 다민족의 다양한 문화전통까지 잘 보존하고 있는 문화국가이다. 더불어 GDP규모 세계 16위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경제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한국과는 수출·수입 7위로 경제적 교류가 활발하다. 2017년부터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상태이며 2021년 현재 한류지수 1위로 우리나라와는 많은 부분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한국 스마트시티 개발 개념에 관심을 표명했다. 안타라 뉴스(Antara News) 11월 4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공공사업주택부(PUPR) 바스키 하디물드조노(Basuki Hadimuldjono) 장관은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한국 스마트시티(Smart City) 개념이 인도네시아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배우는데 관심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바스키 하디물드조노 장관은 “한국의 한정애 환경부 장관에게 2021년 말에 한국을 방문해 에코델타시티, 송도시, 세종시와 같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참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동칼리만탄에 신수도(IKN, Ibu Kota Negara)를 개발할 계획이기 때문에 한국의 스마트시티 개발 경험을 배우는 데 열심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통신·정보기술이나 ICT 기반 인프라 개발, 특히 첨단 수문기술과 스마트 물 관리에 관한 덴파사르 시범사업과 관련해 수력발전 및 댐 태양열 패널 설치와 같은 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댐을 발전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전달했다. 대통령 재선에 성공한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Jok
인도네시아 정부는 유전자증폭(PCR) 테스트 보유가 더 이상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자바~발리 항공편 관련 규정을 다시 한 번 재조정했다. 현지미디어 ‘템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인간개발문화조정부 무하디르 에펜디(Muhadjir Effendy) 장관은 자바~발리 항공편 승객에 대한 PCR 테스트는 더 이상 의무사항이 아니다’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무하디르 에펜디장관은 현재 항공 승객들이 자바~발리 항공편에 대한 신속항원검사만 받을 수 있지만, 인도네시아 교통부의 회람 통지서가 발행된 이후 새로운 규정이 시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조치는 관광에 대한 활성화 의지와 국민들의 PCR 테스트 의무사항에 대한 반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태국은 11월 1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46개국을 대상으로 무격리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는 발리와 반탐은 이미 개방되었다. 베트남도 12월부터 주요 관광지를 열기로 했다.
“2024 차기 인도네시아 대선에서 차기 대통령 가장 당선될 사람은?” 간자르 쁘라노워(Ganjar Pranowo) 중부자바 주지사가 현 국방장관 쁘라보워 수비안또 그린드라당 총재를 앞지르고 1위였다. 데일리인도네시아 26일자에 따르면 2024년 차기 인도네시아 대선에서 “어느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지?”라고 묻는 조사에서 간자르 쁘라노워 중부자바 주지사가 1위에 올랐다. 인도네시아 여론조사기관 CPCS(Center for Political Communication Studies) 지난 10월 5일부터 10일 동안 전국 1200명을 대상으로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물었다. 결과는 간자르 주지사가 17.2%로 1위를 기록하면서, 2위를 기록한 프라보워 총재(16.4%)를 앞질렀다. 이 결과는 의외였다. 간자르 주지사는 정치적 ‘아웃사이더’로 불려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대선 당선 가능성을 묻는 여러 설문조사에서 항상 상위 3위 안에 들었다. 지리적으로는 중부자바라는 지역에 한정되어 있지만 나름 엄청난 인기를 누리며 조꼬위 대통령과 상반된 강한 카리즈마를 보여 2024년 대선 다크호스로 급부상한 상태다. 지금까지 여러 여
페리 와르지요(Perry Warjiyo)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 Bank of Indonesia) 총재는 2021년 8월 기준 할랄산업의 상품 전자상거래 가치 상승폭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지 미디어 콘탄(Kontan) 10월 25일자에 따르면 페리 와르지요 총재는 “할랄 상품의 전자상거래 매출 증가를 견인하는 할랄산업의 상품 중 하나가 패션 상품이라며 할랄 패션과 식품 강화의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페리 와르지요 총재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샤리아경제 가속화 및 디지털 샤리아 금융을 늘리겠다”는 밝혔다.
세계 최대 이슬람교도가 있는 인도네시아에 수입-유통-판매하는 모든 의약품-화장품은 10월 17일부터 할랄제품보증기관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현지 미디어 자카르타 글로브(Jakarta Globe)의 17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 수입, 유통, 판매되는 모든 의약품과 화장품은 새로운 법에 따라 10월 17일부터 인니 할랄제품보증기관(BPJPH, Badan Penyelenggara Jaminan Produk Halal)이 지정한 기관으로부터 할랄인증을 받게 되었다’고 보도했다. 새로운 할랄품질보장제도의 첫 단계는 2019년 10월에 시작되었다. 음식, 음료, 그리고 동물 도축 과정을 먼저 다뤘다. 이번 10월 17일 2단계 할랄제품 규정에 명시된 착용 및 활용 제품에서는 동물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인관리제품, 의류, 모자, 액세서리, 가정용품, 식품 및 음료 포장, 문구류, 사무용품, 의료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게 되었다. 할랄제품보장청(BPJPH)은 2019년부터 할랄인증 전체를 감독하고 있다. 하지만, 할랄감사원과 할랄심사기관(LPH)에 대한 임명은 인도네시아 울라마위원회(MUI)에 의존하고 있다. 이전 정권과의 중요한 차이점은 정부가 이제 할랄 심사관
인도네시아가 전세계 전자상거래앱 시장에서 브라질과 인도에 이어 세계 3위에 올랐다. 현지 미디어 비즈니스(Bisnis) 10월 13일자에 따르면 ‘모바일 어트리뷰션 툴인 앱스플라이어(AppsFlyer)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인니의 쇼핑 카테고리 애플리케이션 설치 수가 70% 증가했다’고 전했다. 국가별 전자상거래 앱마케팅 보고서(State of eCommerce App Marketing 2021)에 따르면 앱스플라이어는 인도네시아를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안드로이드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 시장으로 언급하며, 전세계 전자 상거래 설치의 8%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앱스플라이어 APAC 루트피 안샤리(Luthfi Anshari) 수석 고객성공관리자는 “인도네시아가 안드로이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브라질(전세계 전자상거래 설치의 19%)과 2위 인도(전세계 전자상거래 설치의 17%)에 이어 3위를 차지한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스타트업인 유니콘 ‘부칼라팍’(Bukalapak)은 10년 만에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IPO(기업공개) 목표를 세웠다. 15억 달러(약 1조 7212억 5000만 원)를 모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