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31일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Grayscale Investment)가 밈코인으로 알려진 도지코인(DOGE)에 대한 투자 펀드를 출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Coin Telegraph)가 보도했다. 그레이스케일 도지코인 트러스트는 투자자들에게 도지코인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기관 투자자들만 이용할 수 있다. 도지코인은 비트코인과 유사한 작업 증명(PoW) 합의 메커니즘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BTC)보다는 적은 컴퓨팅 파워로 거래 검증이 이루어지고 공급량에 제한이 없다. 그레이스케일 측은 도지코인 트러스트 출시와 관련해 “도지코인은 금융 접근성을 증진하는 데 있어 잠재적으로 강력한 도구로 자리잡았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4년 12월 그레이스케일은 리도와 옵티미즘 거버넌스 토큰들에 대한 투자 펀드를 선보였다. 2024년 10월에는 아베 거버넌스 토큰에 대한 투자 펀드를 출시했다.
지난 1월 31일 기업용 사내 웰니스 건강 솔루션 ‘달램’을 운영하는 ‘헤세드릿지’가 ‘교보생명’에서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에도 선정됐다고 밝혔다. 팁스는 민간과 정부가 합심해 우수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민간 운영사가 유망한 스타트업에 먼저 1~2억원을 초기 투자하면, 중소벤처기업부가 R&D(연구개발) 자금 등을 연계 지원하는 방식이다. 팁스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연구개발 자금 확보가 가능하다. 사업화 자금(1억원)과 해외 마케팅(1억원)을 위한 추가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있다. 헤세드릿지는 지난 2024년 교보생명의 창업도약패키지에 선정돼 실무 전문가 멘토링 및 그룹사와의 협업모델 발굴, 공동사업화, 사내외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아왔다. 또한, 직접 투자까지 유치하면서 사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실탄도 마련했다. 특히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실리콘밸리에 있는 한인 창업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 중 기업가치가 가장 높은 ‘몰로코’의 공동창업자인 박세혁 최고정보책임자(CIO)도 참여해 눈길을 끈다. 헤세드릿지 신재욱 대표는 “교보
지난 1월 27일 셀타스퀘어(대표이사 신민경)는 ▲KB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유안타인베스트먼트 ▲SJ 투자파트너스 ▲젠엑시스 등 투자사들로부터 총 92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셀타스퀘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전 주기 약물감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번 투자는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과 디지털 솔루션의 상용화가 필수적인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라는 설명으로 셀타스퀘어의 기술력과 약물감시 분야의 전문성을 투자사들로부터 인정받았다. 셀타스퀘어의 AI 기반 약물감시 솔루션은 전 주기 약물감시 실무에서 활용 가능하며, 해당 업무의 생산성과 정확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유한양행, 한미약품, 대웅제약, 켄뷰 등 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며,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회사의 대표적인 솔루션으로는 안전성 데이터 입력 자동화 솔루션 ‘셀타 웨이브(SELTA-WAVE)’, 문헌 검색 자동화 솔루션 ‘셀타 리투스(SELTA-LITUS)’, AI 기반 MedDRA 코딩 솔루션 ‘셀타 옥토(SELTA-OCTO)’, 품목갱신을 위한 분석 및 테이블 자동화 솔루션 ‘셀타 튜브(SELTA-TUBE)’
지난 1월 24일 외국인 종합 생활지원 플랫폼 ‘케이스타트’(Kstart)를 운영하는 ‘케이워크파트너스’가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이하 ‘카이스트창투’)에서 8억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케이스타트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 및 해외 유학생의 국내 생활 편의를 돕는 플랫폼이다. 국적별 커뮤니티, 생활지원콜센터, 커머스, 금융 서비스 등 입국 전 준비부터 정착 후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한다. 케이워크파트너스는 2년여간의 준비를 거쳐 지난 2024년 12월 케이스타트 서비스를 정식 런칭했다. 현재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을 포함한 장기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선불카드와 보험 등 금융 서비스 확장과 취업 지원 및 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추가한단 계획이다. 카이스트창업투자 안준현 이사는 “한국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경제, 사회구조 변화에 외국인력이 필수 요소가 됐다.”며 “케이스타트는 수 년간 외국인의 눈높이에서 국내 정주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고민하면서 쌓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 외국인 대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워크파트너스 조성곤 대표는 “케이스
한국 맥쿼리자산운용 PE투자본부(이하 ‘맥쿼리PE’)가 호주의 섬유 특수세탁 업계 1위 회사인 린네서비스오스트레일리아(Linen Services Australia・LSA)를 인수한다.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펀드 6호(MKOF 6호)의 세 번째 투자다. 1월 19일 맥쿼리PE는 최근 LSA 경영권을 약 3,0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MKOF 6호 펀드와 공동투자펀드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투자 집행 시기는 2025년 3월로 예정하고 있다. 1927년 설립된 LSA는 호주 주요 도시에서 19개 공장을 운영하며 매년 10만t 이상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업으로 알려졌다. 매출의 70% 이상이 의료기관, 노인 요양 시설 등에서 나오는 환자복과 침대 시트 등에서 비롯됐으며, 지난 2020년 호주 사모펀드 아다만뎀 캐피탈(Adamantem Capital)에 인수됐었다. MKOF 6호는 지난 2024년 6월 국내 1위 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업체인 제뉴원사이언스 경영권에 투자했었다. 당시 토종 사모펀드 IMM프라이빗에쿼티로부터 이 회사 지분 100%를 6,200억 원에 인수했다. 이번 LSA 인수로 MKOF 6호의 자금 소진률은 40%에 달하게 된다.
‘국민연금공단’이 미국 부동산 투자사 알마낙리얼티인베스터스(Almanac Realty Investors)와 손잡고 해외 부동산 투자를 확대에 나선다. 운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대체투자 기회를 지속해서 모색하는 모습이다. 지난 1월 14일 ‘알마낙’은 국민연금과 전 세계 부동산 플랫폼 및 부동산 GP(위탁운용사) 지분 투자 등에 협력하는 내용의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우선 8억 달러(원화 약 1조 1,700억 원) 규모로 자본금을 출자하고 앞으로 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자산운용사 자본 제공 ▲부동산 투자운용사 소수 지분 투자 ▲GP 지분 투자 등에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알마낙은 미국 대표 자산운용사 ‘누버거버먼’(Neuberger Berman)의 자회사로 민간・공동 부동산 회사에 성장 자본을 제공하고 있다. 북미 지역 56개 부동산 투자회사에 83억 달러(원화 약 12조 1,200억 원) 이상의 자본을 투입했다. 1939년 설립한 누버거버먼은 총 5,090억 달러(원화 약 740조 원)의 자산을 운용 중이다. 국민연금은 해외 부동산을 비롯해 대체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전통적인 주식과 채권만으로는 장기
지난 1월 14일 ‘우리금융그룹’이 전략적 파트너인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Natixis)와 함께 미국 데이터센터 두 곳에 1억5000만 달러(원화 약 2,100억 원)를 공동 투자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4년 6월 우리금융이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NATIXIS CIB)와 ‘글로벌 사모대출 펀드(Global Private Debt Fund) 조성과 상호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첫 성과다. 이번 공동 투자는 우리PE자산운용의 해외펀드 운용 경험과 우리은행 IB그룹의 글로벌 투자 노하우가 결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한 사례라고 우리금융그룹은 설명했다. 나틱시스는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와 사모대출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자 구조 설계와 실행을 지원했다. 투자 대상은 미국 애리조나의 176㎿ 규모 데이터센터와 버지니아의 110㎿ 규모 데이터센터이다. 두 시설 모두 아마존과 15년 장기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다.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애리조나와 버지니아는 각각 서부와 동부의 주요 데이터 허브로 안정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이 영국 단독주택 투자펀드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영국 단독주택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투자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 받는다. 지난 1월 10일 영국 주거 전문기업 ‘롱 하버’(Long Harbour)는 국민연금으로부터 3억 파운드(원화 약 5,400억 원) 규모로 단독주택 투자펀드의 시드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민연금공단이 투자한 금액은 레버리지를 포함해 최대 6억 파운드(원화 약 1조 800억 원)까지 영국 전역의 단독주택에 투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롱 하버는 펀드 전체 투자 목표액을 16억 파운드(원화 약 2조 8,800억 원)로 설정했다. 롱 하버 ‘잭 스피어먼’ 전무이사는 “이 펀드에 총 8억~12억 파운드(원화 약 1조 4,400억~2조 1,580억 원)의 약정을 모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 안에 펀드를 2번째로 마감하고 오는 2027년 최종 마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부동산전문매체 PERE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영국 단독주택에 대한 국민연금의 첫 번째 펀드 투자다. 최근 5년 동안 국민연금이 민간 부동산 펀드에 약정한 금액 중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국민연금은 부동산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