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속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대형소매유통기업 마타하리(Matahari)가 온라인 쇼핑몰 토코피디아(Tokopedia)에 입점했다. 토코피디아는 인도네시아 1위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기업가치 70억 달러(약 7조 6440억 원)인 유니콘 기업이다. 현지 미디어 자카르타 포스트(The Jakarta Post) 10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대형 소매점인 PT Matahari Putra Prima(MPPA)는 푸드마트(Foodmart), 하이프레시(Hyfresh), 하이퍼마트(Hypermart) 및 프리모(Primo)를 포함한 23개의 슈퍼마켓 체인을 위한 토코피디아 가상 상점을 9일 출시했다. MPPA는 코로나19 이전에는 온라인 판매가 회사 전체 매출의 0.1%를 넘지 않았다. 하지만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온라인 매출이 회사 전체 매출의 약 8%으로 올라가고 있다. 이번 토코피디아 진출은 온라인 판매를 촉진하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매장 내 쇼핑 감소분을 만회하기 위해 자사의 슈퍼마켓 체인을 토코피디아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을 선택한 것이다. MPPA 기업 사무처 및 홍보 담당 대니 코조
일본 자동차회사 도요타가 인도네시아에 20억 달러(약 2조 1780억 원)를 투자해 전기차를 개발해 생산한다. 현지 미디어 Tempo는 9일자에 요이치 미야자키(Yoichi Miyazaki) 도요타 자동차 아시아지역 최고경영자를 인용해 “2025년까지 인도네시아에 20억 달러를 투자해 전기차를 개발해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이를 위해 도요타는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을 위해 최소 10개 이상의 전기차 모델을 준비했다. 요이치 미야자키 대표는 “이 투자는 도요타가 인도네시아에서 지속가능한 자동차 개발을 추진 및 인도네시아 정부의 배출가스 및 석유 수입 감축 시도를 지원하기 위한 약속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요타가 인도네시아의 바이오디젤이 30%(B30) 연료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료 소비량이 최대 1억2600만 리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가 미국제약기업 노바백스로부터 최대 1억 3000만 개의 백신을 확보했다. 현지 미디어 Bisnis 9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제약사 인도파르마(Indofarma) 어리페이 프랜포소(Arief Pramuhanto) 이사 회장은 미국제약기업 노바백스(Novavax)로부터 최대 1억3000만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들여오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밝혔다. 어리페이 프랜포소 이사 회장은 노바백스 백신이 2021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인도네시아로 선적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노바백스 백신은 영국에서 3단계 실험을 거쳤으며 NVX-CoV2373으로 명명될 것으로 전했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노바백스 백신 외에도 아직 임상 최종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인 중국으로부터 시노박 백신을 받아 접종했다. 시노백 백신 120만 회 분량이 자카르타에 도착했다. 초저온 보관이 필요 없어, 일반 냉장 콘테이너에 담겨 들어왔다. 지난 8월부터 중국의 시노백 백신을 임상시험중인 인도네시아 국영 바이오파르마 연구소는 시노백이 97%의 면역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화이자(Pfizer) 및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등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용량 수를 결정
충청남도가 아세안 거점 시장인 인도네시아의 경제·문화 중심지와 본격적인 교류·협력을 추진한다. 양승조 지사는 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온라인을 통해 리드완 카밀 서자바주지사와 국제교류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쪽에 위치한 서자바주는 면적이 충남의 4.5배인 3만 5,378㎢이며, 인구는 4900만 명에 달하는 광역주다. 서자바주는 수도 자카르타와 연접한 교통의 요지로, 최근 신공항 건설을 완료하며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 경제·문화의 중심지다. 이번 LOI 체결에 따라 도와 서자바주는 K-방역, 스마트시티, 한류문화, 첨단기술 산학협력 등의 분야에서 교류-협력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도는 도내 K-방역 관련 기업 등의 인도네시아 진출 교두보로써 협력체제를 확대한다. 또한, 서자바주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관련성이 깊은 도내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홍성 한국K-POP고등학교와 서자바주 청소년 간 문화 교류 발판도 놓는다. 충남도와 서자바주는 이와 함께 양 지역 소재 대학인 순천향대와 반둥공과대 간 인적·기술 교류를 지원하며, 도는 서자바주 공무원 초청 연수를 진행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양승조 지사는 “서자바주는 인
신한금융투자는 인도네시아 PT OKI Pulp & Paper Mills(이하 OKI)의 5500만달러(약 610억원) 규모 김치본드 발행 주관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이번 김치본드 발행은 한국투자증권과 공동 대표주관으로 업무를 진행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의 성과로 주목을 받았다. 김치본드 발행회사인 OKI는 세계 1위의 펄프 생산 능력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다. 세계 최대의 종합제지그룹인 Asia Pulp & Paper Group(APP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APP그룹은 인도네시아 재계 2위인 시나르마스 그룹의 중간지주사로서 인도네시아 외에도 미국, 중국 등에도 대규모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꾸준히 인도네시아 김치본드 발행을 대표주관하며 김치본드 시장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다. 2018년 업계 최초로 인도네시아 기업 PT Pabrik Kertas Tjiwi Kimia Tbk의 2500만달러 규모 김치본드 대표주관을 완료한 이후, 지난해 5월에는 PT Lontar Papyrus Pulp & Paper Industry의 9000만달러 규모 김치본드 발행을 성공적으로
"코로나19 속 한국-인도네시아 방산협력은 계속된다." 방위사업청은 24일 제9차 한-인도네시아 방산협력위원회 회의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화상회의로 개최하였다. 방산협력위원회는 2011년 체결된 한-인도네시아 방산협력위원회 설립에 관한 양해각서에 근거하여 양국의 방산정책 및 현안을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연례 회의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방산협력위는 방위사업청 국제협력관과 인도네시아 국방부 예비전력총국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여 방산기술보호 협력 강화, 운용중인 무기체계 현황 공유 등을 주제로 양국 간 방산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양국 기업 8개 업체도 참여하여 방산제품을 소개하고, 현재 진행중인 협력사업 현황을 공유하는 등 양국의 실질적인 협력분야를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인도네시아는 한국 주요 무기체계의 수출길을 열어준 국가일 뿐만 아니라, 현재는 공동개발 및 현지생산 등을 통해 협력을 이어가고 있는 국가인 만큼 앞으로 여러 가지 동일한 무기체계를 함께 운용할 방산협력 핵심국가이다. 방위사업청 성일 육군 소장 국제협력관은 “이번 방산협력위원회 회의가 양국 간 방산현안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만남이었고, 앞으
코이카(KOICA)는 19일 인도네시아 적십자(PMI)와 코로나19 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인니 지역사회의 공공시설 방역과 지방병원 역량강화 지원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적십자는 1945년 설립된 PMII(Palang Merah Indonesia)는 국제적십자사연맹의 일원으로 국제적십자운동의 기본원칙에 따라 인도적 지원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회의실에서 체결된 이날 약정식에는 박태성 주인도네시아 대사, 정회진 코이카 인도네시아 사무소장, 유수프 칼라(Jusuf Kalla)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지원사업은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다 함께 안전한 세상을 위한 개발협력구상(ODA KOREA: Building TRUST)’의 일환으로 코이카가 추진하는 ABC프로그램에 의해 추진됐다. 이번 약정에 따라 코이카와 인도네시아 적십자는 내년 9월까지 50만 달러(한화 약 6억 원) 규모로 인니 전국 34개주 450개군에서 ‘지역사회의 코로나 대응 역량강화 사업’을 실시한다. 코이카는 적십자회 의료진, 보건요원과 의료 봉사자 등 약 100만 명의 코로나19 대응현장 활동을 지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에서 진행 중인 ‘H-온드림 사회적기업 창업 오디션’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에서도 소셜벤처 육성 사업을 시작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현대 스타트업 챌린지’ 데모데이 및 시상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첫 사업성과를 공유했다. 인도네시아의 교육, 환경, 일자리와 관련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꿈꾸는 청년 체인지메이커를 선발하는 이번 ‘현대 스타트업 챌린지’ 프로그램에는 총 316개 팀이 지원했다. 이중 최종 선정된 10개 팀에게는 전문가의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편, 이번 데모데이를 통해 사업을 홍보하고 투자유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각 팀당 기본 1,000만 원에서 최대 5,000만 원까지 사업비를 지원했다.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 장관, 창조경제관광부 차관 등 정부 관계자와 창업 전문기관, 투자 관계자 및 현지 다양한 분야의 약 5천 명이 참관하며 미래인재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한 현지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현대자동차그룹 관계자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하고 발전을 도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