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대 김재신 사무총장 취임을 축하해줘서 감사합니다.” 한-아세안센터가 5월 27일 롯데호텔에서 제6대 김재신 사무총장 취임식을 가졌다. 김재신 사무총장은 지난 2월 개최된 제16차 한-아세안센터 연례 이사회에서 제6대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앞으로 3년 간 한-아세안센터를 이끌어간다. 이 자리에는 강인선 외교부 제2차관 등 정부기관,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또한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쏭깐 루앙무닌턴 주한 라오스 대사, 모하마드 잠루니 카리드 다토대사 등 주한 외교단,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장 등 경제계, 문화계, 언론, 학계 인사 12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사무총장은 “올해는 한-아세안센터 창립 15주년이자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는 중요한 시기다. 앞으로 △한-아세안 간 지속가능하고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 증진, △미래지향적인 관광 및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관광 분야 역량 강화, △한-아세안 국민 간 소통 강화와 상호 인식 증진을 통한 연대와 협력 강화에 노력하겠다”고 센터의 활동방향과 주요 사업 등을 설명했다. 리셉션에 이어 까으 끔 후은 아세안 사무총장 방한 환
온라인 쇼핑 플랫폼 라자다(Lazada)가 모회사인 알리바바로부터 3100억 원의 추가 투자를 받는다. 라자다는 알리바바의 투자금으로 물류 시스템과 기술 인프라를 개선하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라자다는 이번 투자까지 포함해 알리바바에게 총10조 4000억원을 투자 받았지만, 동남아 1위 자리를 쇼피(shopee)에게 빼앗겨 2위로 밀렸다. 컨설팅업체인 모멘투스웍스(Mmentus Works)의 ‘동남아 전자상거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동남아시아 온라인 쇼핑 거래 규모(GMV, 상품판매량)는 995억 달러(약135조8000억원)다. 이 중 쇼피의 GMV는 479억 달러(약66조9000억원)로 전체 GMV의 48%다. 라자다의 GMV는 201억 달러(약27조4000억원)로 쇼피의 42% 수준이다. 라자다는 그동안 알라바바의 과도한 개입, 인도네시아에서의 시장 적응 실패, 잦은CEO교체로 혼란을 겪어왔다. 한편 라자다가 1월 초 100명이 넘는 직원을 갑자기 해고한 후 낮은 퇴직금을 지급해 발생했던 분쟁이 해결됐다. 블칸포스트에 따르면 라자다는 해고한 직원들에게 재직 연수 1년마다 2주치 급여에
또 럼(To Lam) 대장(전 공안부 장관)이 베트남 권력서열 2위 국가주석에 선출되었다. 22일 국회 본회의는 럼 대장의 공안부 장관 해임안을 가결한 뒤 참석 의원 473명중 472명의 찬성으로 2021~2026년 임기 국가주석으로 선출했다. 럼 신임 국가주석은 보 반 트엉(Vo Van Thuong) 전 국가주석의 잔여임기를 맡을 국가주석으로 공식 취임했다. 신임 주석 취임에 맞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축전을 보내며 밀착을 과시했다. 라오스와 캄보디아, 브루나이 등 아세안 회원국과 아랍에미리트(UAE), 팔레스타인 등 중동국가 등 각국 정상도 럼 신임 주석에 축전을 보냈다. ■ 응웬 쑤언 푹-보 반 트엉 연속 임기 중 사퇴...공안부 장관으로 주석 선출 베트남 국가 주석은 2021년 이후 응웬 쑤언 푹, 보 반 트엉 등으로 연속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2021년 4월 응웬 쑤언 푹은 총리재직 중에 국가주석으로 임명됐으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2023년 1월에 해임되었다. 그후 보 반 트엉 주석이 그해 3월에 새국가주석으로 임명되었다. 보 반 트엉 주석도 임명된지 1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관련 기사 http
22일 런던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된 7월물 로부스타 커피선물가격은 톤당 3917달러(약535만원)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2024/25년 로부스타 커피 수확량이 2,400만 포대(144만톤)에 불과할 수 있다는 스위스 커피 무역업체 볼카페(Volcafe) 보고서에 급등세로 마감했다. 지난 기간에는 163만톤이었다. 로부스타 커피 선물가격은 작년 5월 22일 2064달러(약280만원) 대비 89.8% 올랐고, 올해 들어서만도 11.4% 오른 가격이다. 올해 예상수확량은 지난 4년 이래 가장 적은 양이다. 폭염과 가뭄이 주 원인이다. 베트남 북부와 중부에서 최고 기온은 40도에서 44도를 기록했다. 로이터는 커피 농부들이 관개 시설 사용을 급격히 늘렸지만 현재 물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보도했다. 한편 브라질도 이상기온으로 고민이다. 브라질 아라비카 커피 수확량의 30%를 차지하는 미나스 제라이스 지역에 3월 강우량이 연 평균보다 233% 많이 내렸다. 이후 4월부터 5월까지는 비가 내리지 않아 피해를 입고 있다. 베트남과 브라질은 전 세계 커피생산량의 55%, 수출의 50%를 차지한다. 베트남은 전 세계 로부스타 커피의 3분의 1을 생산하고 브라질은 아라비카 커피의 4
“오버데어 오리지널 콘텐츠, 모션 캡처를 체험해보세요.”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의 메타버스 스튜디오 ㈜오버데어(대표 박형철)가 동남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인터렉티브 UGC(User Generated Contents, 이용자 제작 콘텐츠) 플랫폼 ‘오버데어(OVERDARE)’의 알파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번 테스트는 5월 22일부터 6월 19일까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총 5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모바일 기기로 참여할 수 있다. 해당 국가의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이번 테스트에서 오버데어의 다양한 플랫폼 기능과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용자들의 피드백은 정식 출시 시점에 더욱 완성도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된다. 먼저 이용자들은 오버데어가 제공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5종을 만나볼 수 있다. ▲자신만의 펫을 육성하면서 오버데어 세계관을 익힐 수 있는 튜토리얼 공간 ‘오리진아일랜드’ ▲역할 수행 서바이벌 게임 ‘매직마피아’ ▲이용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며 AI 고양이 사장과 대화할 수 있는 공간 ‘캣 카페’ ▲NPC에게서 도망치며 이용자들끼리 협업해야 하는 술래잡
다국적 제약 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시설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를 생산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15억 달러(약 2조원) 규모의 제조 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ADC는 항체와 약물을 결합한 항암제로 차세대 암 치료에 사용된다. 경제 개발청(EDB)이 지원하는 신규 공장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첫 번째 ADC 생산 시설로, 복잡한 ADC 제조 과정을 상용화 규모로 완전히 통합하게 된다. 경제개발청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제약 및 바이오 기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싱가포르가 공공 부문 연구에 250억 싱가폴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4대 전략 분야 중 하나이다. 펭청분(Png Cheong Boon) 경제개발청 이사장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싱가포르 공장은 암을 정밀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항체약물접합체를 생산하는 완전한 제조 시설이다. 이 신규 투자는 싱가포르의 바이오 제약 제조 역량과 인재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보여준다. 신규 투자는 정밀 의약품 개발 및 제조 생태계를 강화하고, 의미 있는 일자리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한다. 아스트라제네카와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싱가포르는 2022년에 190억 싱가포르달러(약10조원)의 제약 제품을 수출했다. 파
한글과컴퓨터 자회사인 에듀테크 기업 한컴아카데미(대표 이광헌-김종헌)가 필리핀 한국어 교육 사업 확대에 나선다. 한컴아카데미는 필리핀 마리아노 마르코스 주립대학교(MMSU), 필리핀 한국상공회의소(KCCP), 필리핀 삼도 이러닝 기업(SEC)과 한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컴아카데미는 자체 개발한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플립러닝(Flipped-learning) 시스템을 MMSU에 도입해 학습자들에게 맞춤형 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성향을 분석하여 최적의 학습 경로를 제시하고, AI 교원이 개별적으로 학습자의 진도를 모니터링하여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추천으로 진행된 이번 협약 자리엔 MMSU가 위치한 일로코스 노르테(ILOCOS NORTE)주의 주지사도 참석해 관심을 나타냈다. 매튜 마르코스 마노톡 주지사는 “이번 MOU를 통해 MMSU의 한국어 교육이 활성화되는 등 양국 간 문화 교류의 큰 발전을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이광헌 한컴아카데미 대표는 “앞으로 필리핀과 한국어 교육 관련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역 교육
5월 21일 런던에서 싱가포르로 향하는 싱가포르항공(SIA) SQ321편이 극심한 난기류를 만나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 비상착륙했다. 73세 영국 남성이 심장마비(추정)로 사망하고 최소 30명이 부상했으며 일부는 중상이다. 이번 사건의 원인은 난기류일 가능성이 크다. 난기류는 공기의 흐름, 즉 기류가 예측할 수 없이 불규칙한 난류 형태를 띠는 것을 말한다. 대기압, 뇌우, 또는 제트기류라 불리는 강한 기류에 의해 생성된다. 비행기가 난기류로 인해 흔들리거나 빠르게 고도를 잃을 수 있지만 이번 사고의 기종인 보잉777-300ER 크기의 항공기가 갑자기 급강하하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비행 추적 데이터에 따르면 SQ321은 4분 이내에 1800미터나 떨어졌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기상 레이더에 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난기류를 감지할 수 있다. CNA와 인터뷰한 샨타누 강가케드카르(Shantanu Gangakhedkar) 프로스트앤설리반 수석항공 컨설턴트는 “구름의 움직임으로 인해 난기류가 발생하면 조종사에게 경고를 보내 이를 피하거나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알린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난기류는 눈에 보이는 징후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