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아 부(26, 미국)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023시즌 첫 메이저 대회 챔피언이 됐다. 24일(한국 시간) 미국 텍사스주 더 클럽 칼턴우즈(파72)에서 열린 LPGA 투어 셰브런 챔피언십(총상금 510만달러)에서 우승한 부는 베트남계 3세다. 할아버지가 베트남 전쟁 당시 조국을 탈출한 ‘보트 피플’ 출신이다. 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베트남 출신이다. 부의 외할아버지는 1982년 보트 한 척에 의지해 가족들과 베트남을 탈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승 확정 후 호수에 몸을 던지는 다이빙 세리머니를 펼친 부는 “할아버지의 탈출 덕에 엄마가 미국에 왔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신 말씀은 ‘최선을 다해 경기하라’는 것이었다”고 할아버지에게 감사했다. 부는 2019년 LPGA 투어에 데뷔했다. 본격적으로 메이저 무대에 출전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당시 5대 메이저에 모두 나섰다. 경험을 쌓은 부는 이번 시즌 더욱 무르익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참여한 5개 대회에서 모두 톱20에 안착했다. 지난 2월 혼다 LPGA 타일랜드에선 데뷔 첫 우승의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약 2개월 만에 시즌 2승이자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팜민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지난 4월 22일 FDI(외국인직접투자) 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외국 기업들의 고충을 청취하고 애로사항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코참데일리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베트남에서 유치한 외국인 투자액은 54억 달러(약 7조 209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38.3% 감소했다. 이번 간담회는 베트남 정부에서 투자 확대를 위해 직접 팔을 걷어 붙이는 자리였다. 이날 주 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코참), 대한상공회의소를 비롯해 일본-미국-유럽 상의 관계자들과 애플, 나이키, 히타치, 보쉬, 구글 관계자 등 180여 명이 참석했다. 베트남 정부 측에서는 팜민찐 총리와 레밍카이(Le Minh Khai) 부총리, 쩐르우꽝(Tran Luu Quang) 부총리, 응웬치중(Nguyen Chi Dung) 기획투자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찐 총리는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경제 상황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베트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동안 베트남에서 투자를 활발히 한 FDI 기업들에게 감사한다.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은
인구의 88%가 무슬림인 인도네시아에 한국 절,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를 아시나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는 유일하게 삼존불을 법당에 모시고 있는 한국 절,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가 있습니다. 1990년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이후 30년만에 지난 2월 22일 30년만에 ‘야야산 해인사 인도네시아’ 법당에서 점안법회를 했습니다. 조계종 산하 불교 단체 해인사 인도네시아는 1990년 신도들이 모여 가정법회로 시작한 공간입니다. 현지에 진출한 교민 불자들이 신심을 다지고 수행과 생활불교 실천을 위해 출발했습니다. 3년간 상주하는 스님이 없이 불자들의 공간을 이어오다가 조계종에 스님 파견을 요청했습니다. ‘산은 산이오, 물은 물이로다’라는 화두로 유명한 성철 스님의 직계 제자이자 마침 국제포교 소임을 맡고 있던 원명 스님이 파견되어 1994년 해인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자카르타 남쪽의 파트마와티(Fatmawati) 지역에 위치한 해인사는 4층짜리 건물로, 3층에 법당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석가모니불만 모시고 있다가, 추가로 중국에서 제작한 목조지장보살상을 모셨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인도네시아 현지 기후로 인해 목조보살상의
박정욱 주 캄보디아 한국 대사는 20일 찌어 반뎃(Chea Vandeth) 캄보디아 우정통신부 장관을 부임 예방했다. 박 대사는 두 나라간 ICT 분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면담 이후 한국 ODA 사업으로 운영 중인 우정통신부 내 캄보디아 정부의 디지털 정부 정책 이행을 지원하는 디지털정부협력센터를 방문했다. 한편 박정욱 대사는 4월 14일 쫄츠남 명절(크메르 새해) 연휴를 맞이하여 캄보디아 정부가 시엠립에서 개최한 '앙코르 송크란(Angkor Sankranta)'에 참석했다. ‘앙코르 송크란’은 쫄츠남 명절을 축하하기 위해 캄보디아 정부가 개최했다. 훈 센 총리 내외 등 정부 고위관계자, 외교단 등이 참석했다. 이 밖에도 박 대사는 시엠립에서 KOICA의 ‘앙코르 유적 코끼리 테라스 보존 및 복원사업’ ODA 현장 방문, 한국 모빌리티 기업 ‘베리워즈(Verywords)’ 방문, 시엠립 동포 대표들과의 만찬 간담회 등 일정을 가졌다.
방송인 서세원이 20일 세상을 떠났다. 이날 오후 1시 경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한인병원(미래 병원, Mirae Polyclinic)에서 링거 주사를 맞던 중 심정지로 사망했다. 향년 67세. 그는 평소 ‘당뇨 합병증’ 등 지병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동남아시안게임 등 방송중계권 3조 원대 사업 진행 중 비보 스타뉴스에 따르면 그는 최근까지 5월 5일부터 개최되는 동남아시안게임과 오는 10월 22일부터 개최되는 장애인아시안게임 방송 중계권을 낙찰받아 사업을 진행중이었다. 그는 2020년 캄보디아 현지의 방송사 스포츠TV(CS TV)를 세우기로 합의, 스포츠TV의 동남아시안게임 중계 독점 합의서를 공개한 바 있다. 미디어 사업을 포함한 호텔, 레지던스, 카지노, 골프장, 종합병원 등 3조 원(25억 달러) 대에 달하는 대규모 부동산 건설 사업을 따냈다는 소식은 화제로 떠올랐다. 캄보디아도 들어가 한국 기업 지분 70%에 캄보디아 정부 지분 30%로 약 3조 원 규모의 사업이었다. 서세원은 2015년 서정희와 이혼한 뒤 이듬해 23세 연하 해금연주자 김모씨와 재혼했다. 사업을 위해 2019년 12월 재혼한 아내와 당시 5세짜리 딸과 캄보디아 수도 프놈
베트남 남부의 빈투언성에 있는 유명한 관광지 ‘무이네(Mui Ne)’가 싱글벙글이다 4월 30일 호치민~판티엣(Phan Thiet) 고속도로가 개통 예정 때문이다. 현재 호치민에서 1번국도를 타면 무이네까지 4시간반 정도 걸린다. 고속도로가 개통(예정)되면 호치민에서 2시간반이면 무이네를 갈 수 있다. 고속도로 명칭은 '판티엣-여우저이(Dau Giay) 고속도로'로 현재 공정률은 90%를 넘겼고 아스팔트 포장은 10일 완료했다. 2020년 9월 착공돼 지금까지 총 12조5000억동(5억3270만달러)이 투자된 판티엣-여우저이 고속도로는 길이 99km, 4차선, 최고속도 120km/h로 완공시 호치민-롱탄(Long Thanh)-여우저이 고속도로와 연결돼 호치민시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으로 지금보다 4시간 단축된다. 무이네는 사람의 코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호치민과 낫짱(나트랑)시의 중간 쯤에 있는 무이네는 곱고 길게 뻗은 해변이다. 호치민과 나트랑이 찾은 한국 관광객들이 시간 내서 '붉은 모래언덕'과 무이네 해안을 자주 찾아갈 정도로 무이네는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명소 중 하나다. 무이네는 원래 판티엣(Phan Thiet) 소속 작은 마을이었다. 무이
태국 출신 ‘블랙핑크’(지수-제니-로제-리사) 리사는 역시 ‘SNS 퀸’이다. 톱스타뉴스에 따르면 지난 19일 리사의 개인 해시태그 ‘#lisa’는 글로벌 쇼트폼 비디오 플랫폼 틱톡에서 1001억뷰를 넘어섰다. 주목을 할 것은 리사는 틱톡에서 개인 계정이 없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lisa’이라는 해시태그 하나만으로 전세계 여성 아티스트 최초이자 유일한 1000억을 넘어서는 막강한 파워를 보였다. ‘lisa’ 관련 최다 조회수를 기록한 ‘LALISA’는 197억뷰, ‘lisablackpink’은 120억뷰, ‘lisamanoban’은 31억뷰. 톱4 해시 태그의 총 조회수는 약 1349억뷰에 달한다. 이밖에도 리사의 코첼라 관련 해시태그 ‘LISACHELLA’는 7280만뷰를 넘어서기도 했다. 리사는 태국 출신으로 동남아에서 누구나 닮고 싶은 아이돌의 하나다. 동남아 출신 걸그룹 멤버로는 최근 핫한 그룹 뉴진스에 멤버 중 베트남 출신 ‘팜응옥한(Pham Ngoc han, 본명)’(아래 하니)이 있다. 한국 대형 기획사에서 데뷔한 최초의 베트남 출신 멤버다. 한편 빅뱅 멤버로 솔로로 활동 중인 가수 태양이 블랙핑크 리사와 협업한 곡을 발표한다. 18일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4월 20일 라오스 루앙프라방에서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을 ‘코로나19 이후 한국 아웃바운드 관광 시장의 동향 및 전망’이라는 주제로 연다. 한-아세안센터와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and Tourism)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동 워크숍은 코로나19 이후 4년만에 라오스 현지에서 열리게 된다. 한-아세안센터는 2009년부터 아세안 관광 관계자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 관광객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을 개최해왔다. 이번 한-아세안 관광역량개발 워크숍은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라오스 관광산업의 회복을 위한 지속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관광객 맞춤형 관광 서비스 및 디지털 마케팅 전략에 대한 라오스 관광 관계자들의 이해 제고를 목적으로 마련된다. 한국관광공사,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관광 스타트업 ONDA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한다. ▲한국인의 여행 동향,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 ▲디지털 관광 마케팅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라오스 관광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의 디지털 관광 마케팅 성
“말레이시아 안와르 새정부 정책과 경제현황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Korea University ASEAN Center, KUAC)는 2023년 4월 24일 월요일 오후4시부터 5시 30분까지 ‘아세안 콜로키움’을 개최한다. 아세안센터가 주최하는 아세안 전문가 콜로키움은 아세안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아세안 국가가 당면한 중요한 현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장이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아세안 경제와 기업 전문가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고영경 교수가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강연자를 맡은 고영경 교수는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아세안 슈퍼앱 전쟁』『7UPs in ASIA: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등 굵직한 아세안 경제관련 책을 낸 저자이기도 하다. 행사는 온라인(ZOOM)과 오프라인(고려대 국제관 115호)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주제: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 발표: 고영경 교수(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일시: 2023년4월 24일(월) 16:00-17:30 장소: 고려대학교 국제관115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 <아세안 슈퍼앱 전쟁>에 이어 <7UPs in Asia>다” 요즘 핫한 ‘삼프로TV’에서 ‘고영경 박사의 말랑말랑 기업사’를 통해 세계 기업의 역사를 전달하고 있고 있는 고영경 박사가 따끈따끈한 책을 펴냈다. 말레이시아 유니타 인터내셔널 대학의 교수를 역임한 명실상부 동남아, 아세안(ASEAN) 전문가로 주요 일간지와 경제지와 유튜브 등에 종횡무진 활약하는 저자의 세번째 역작이다. ■ 세 번째 책 <7UPs in Asia>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 아세안 시장을 분석하는 세 번째 책인 <7UPs in Asia>는 앞서 2권과 다르게 인도가 추가되었다. 부제도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이다. 고 박사는 “사람들에게 보다 흥미롭게 지역 경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은 기업이 아닐까라는 생각에서 기업 사례를 정리했다. 7개 국가의 20개가 넘는 기업들을 다루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이번에도 현장에서 핫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분석과 전략에 현미경을 들이댔다. 그는 “사실 아세안이 주목받고 있다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대상이 아니다. 우리의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판매량 7위로 올라섰다. 일본차가 94% 점유율을 기록한 인도네시아에서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아이오닉5' 돌풍으로 1분기에만 1만대가 팔렸다. 13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와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분기 인도네시아에서 신차를 1만431대를 판매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6085대) 대비 두 배 가까운 판매량이다. 판매량 순위로는 일본 이스즈를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의 인기를 감안해 현지 생산량을 최대 세 배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아이오닉5 출고를 기다리는 소비자는 4000명에 이른다. 지난해 11월초 방한한 푸안 마하라니 인도네시아 하원의장도 “저도 아이오닉5 주문했는데 기다리는 기간이 너무 길다. 빨리 타고 싶은데”라고 말한 바 있다. 현대는 인도네시아에는 지난해 3월 수도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40km에 위치한 브카시 델타마스 공단에 77만7000㎡ 부지의 전기차 생산공장을 완공한 바 있다. 연 15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춘 이 공장에서 지난해 8만2400대를 생산했다. 막무르(Makmur) HMID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대 연 25만 대까지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최초로 전기택시가 등장했다. 베한타임즈에 따르면 4월 14일부터 하노이 시민들은 GSM(Green, Smart, Mobility) 주식회사의 전기택시 서비스를 최초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SM 싼(Xanh) 택시는 빈패스트(VinFast) 전기자동차로 하노이에서 운영된다. 2023년 전국 최소 5개 성 및 도시에게 SM 그린(Green) 택시를 보급하는 계획의 첫걸음이다. 하노이 교통국 관계자는 “자가용을 제한하기 위해 대중교통 개발을 우선시해야 한다”며 운행에 투입될 많은 수의 전기택시가 도시 교통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대하여 언급했다. 하노이는 2014년부터 휘발유 택시에 대한 새로 허가를 중단했다. 택시 1만 9000대 이상과 9인승 이하 약 5만 대의 계약 차량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노이 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택시의 수, 특히 전기 택시 및 기타 유형의 친환경적한 대중 교통이 계획에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노이 교통협회의 전 회장인 부이다잉리엔(Bùi Danh Liên)은 많은 전기 택시가 운영됨에 따라 택시 서비스 제공업체는 택시 수를 늘리지 않고 교통 체증을 제한하도록 계획을 준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