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태국인가? 태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들은 무엇일까?” 김홍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가 두 번째 강연을 맡았다.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는 한-태국 수교 65주년을 기념하여 9월 22일부터 4차례에 걸쳐 초청강연회 ‘월간 태국’을 개최한다. 두 번째 강연자는 김홍구 교수로 10월 20일 금요일 오후 4시, 서강대학교 다산관 DB10에 진행된다. ■ 한-태 소사이어티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태국인맥’ 김홍구 교수는 “태국의 정체성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키워드는 국왕과 불교”라고 아세안익스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한 바 있다. 그는 “한국과 태국은 1958년 수교 이래, 문화적, 인적 교류를 중심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오고 있다. 태국의 삼색기(통뜨라라이롱)색깔 중 백색이 뜻하는 것이 종교이며, 청색은 국왕을 의미한다. 태국에는 다양한 종교가 있지만 국민들의 95% 이상이 믿는 지배적인 종교는 (상좌부) 불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부산외대 총장 시절인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가한 나라펀 짠오차 태국 총리의 부인이 부산외대 남산동 캠퍼스를 방문하는 큰 역할을 한 바 있다. 또한 한-태 소사이어티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대표적인 ‘태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전쟁에서 사망자 수가 이미 20명을 넘을 정도로 태국인들의 피해가 컸다. 외국인 사망자수만으로 미국(27명, 14명 행방불명) 다음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태국인 사망자는 모두 21명이다. 하마스가 납치한 태국인 인질도 16명이다. 부상자는 14명이다. 그렇다면 왜 태국인 피해가 컸을까? KBS에 따르면 11일 악몽 같던 전쟁터를 벗어나 1차로 귀국길에 오른 41명의 태국인이 가족의 품에 안겼다. 이스라엘에는 3만 명의 태국인이 살고 있다. 대부분 집단농장 키부츠의 노동자들이다. 하마스가 이 지역에 공격이 집중되면서 피해가 커졌다. 가족을 위해 외국에 돈을 벌러 갔던, 청년들이었다. 지난 10월 7일 가자지구 인근 마을에 기습적인 미사일 공격을 가한 후 현재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태국 현지 미디어 네이션은 12일자에 따르면 “스레타 타비신 총리 겸 재무장관이 이스라엘로부터 5000명 이상의 태국인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4대의 비행기를 추가로 조달하기 위해 민간 항공사들과 협력했다”고 보도했다. 스레타 총리는 “지금까지 20명의 태국인들이 이 상황에서 목숨을 잃었다. 이 숫자가 마지막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피
“30대 총리를 위한 ‘몸풀기’인가?” 더 네이션 7일자에 따르면 태국의 집권여당 프어타이당(Pheu Thai) 차기 대표로 유력한 탁신 전 수상의 막내딸 ‘패통단(37)’이 또 국가 고위 정부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스레타 타비신(Srettha Thavisin, 60) 총리는 패통단 친나왓(Paetongtarn Shinawatra)을 자신이 직접 이끄는 국가보건체계개발위원회의 부위원장을 지명했다. 23명으로 구성된 국가위원회에는 관계부처 장관, 방콕 주지사, 공중보건부 상임비서, 국가경제사회발전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참여한다. 이번 부위원장 임명은 패통탄이 핵심 멤버로 있는 두 번째 국가 패널이다. 그녀는 스레타 총리가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국가소프트파워전략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임명된 바 있다. 태국 정계 소식통들은 “패통탄이 미래의 총리가 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패통탄은 5월 14일 총선에서 프어타이당의 총리 후보 중 한 명이었다. 하지만 당은 8월 22일 의회 투표를 위해 스레타를 지명하기로 결정했다. 프어타이당 분위기는 “촐난 스리카이우(Cholnan Srikaew)를 대신해 패통탄이 차기 당수가 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촐
“국왕이 있어 정권 불안정해도 정치는 안정...탁신 재등장 이후 둘 다 불안해졌다.” 서정인 전 아세안 대사가 22일 서강대 동아연구소 ‘월간태국’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자(사회 현시내, 서강대 동아연구소)로 나섰다. 주제는 ‘격변의 태국, 태국의 현재와 미래’다. 서 대사는 이근 서울대 교수의 페이스북을 인용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지점’이라는 제목을 붙였다고 소개했다. 서 대사는 외교부 동남아 과장을 거쳐 일본을 가서 3년간 일본어된 동남아 책들을 섭렵했다. 이후 태국 공사참사관으로 “2010년 2월~5월, 3개월간 반정부시위로 92명의 젊은이들의 죽음을 현장에서 목격했다. 젊은이들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좌절’하는 모습도 봤다”고 회고했다. 외교부 동남아 과장, 심의관, 및 국장 및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까지 20여년 이상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업무를 맡았던 외교관인 그는, 태국을 “아세안 2대 경제대국이자 메콩 주도국이자 중진국 함정에 빠진 나라”로 평가했다. 그가 선정한 태국 ‘격변기’의 세 가지 키워드는 ‘민주화’와 ‘경제발전’과 ‘사회변동’이었다. 민주화의 경우 “국왕을 원수로 하는 민주주의” 구조라는 것이다.
세계적인 K-POP ‘블랙핑크(Blackpink)’의 태국인 멤버 리사는 500억원 재계약 제안을 거부했을까? 그룹 블랙핑크가 1년여간 이어오던 월드투어 ‘본 핑크’(BORN PINK)를 16~17일 한국 고척스카이돔에서 3만5000만 팬을 모으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네 멤버가 전 세계 34개 도시에서 연 공연 횟수만 66번. 누적 관객은 총 180만명에 달한다. 두 번째 월드투어 마지막 무대를 장식하며 주목을 받고 있는 이슈가 블랙핑크 재계약문제였다. 특히 리사의 재계약 불발설로 YG 주가도 요동쳤다. 리사는 “우리 만난 지 벌써 2569일이 되었다. 블링크(팬클럽) 너무나 사랑하고 저의 20대를 함께 빛내줘서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팬덤 블링크에 대한 감사 인사로 들릴 수 있지만 해석에 따라 작별 인사로 들린다는 부정적 의견도 나왔다. 마침 재계약 거부라는 보도가 나오는 상황서 미묘한 표현이었다. 블랙핑크는 2016년 8월에 데뷔했다. K-POP 아티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소속사와 7년 계약을 맺는다. 블랙핑크 멤버들의 계약은 올해 8월에 만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리사를 제외한 3명의 멤버들의 재계약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태국의 ‘오렌지혁명’을 이끌었던 40대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 대표가 15일 전진당(MFP) 대표직을 전격 사퇴했다. 현지 미디어 네이션은 15일자로 ‘피타가 전진당 대표직을 사임했다’고 전했다. 이어 ‘피타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자신의 미디어 지분 보유 사건에서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올 때까지 의원직을 정지당한 뒤 사퇴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전진당이 지난 5월 14일 총선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대에 내몰렸다고 지적했다. 피타는 당 집행위원회와 하원의원들과의 대화 끝에 당 대표직을 그만두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저를 대신해 국회에서 야당 대표가 될 수 있는 의원과 당 대표가 될 수 있는 의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진당 대표직을 사퇴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버드대학교를 졸업한 피타 대표는 지난 5월 총선에서 전체 하원선거 의석에서도 총 500석 중 151석을 차지해 제1당이자 의석수 최대정당의 대표가 되었다. 기존의 레드셔츠(친탁신 세력)와 옐로셔츠(왕실, 군부, 기득권세력) 사이의 대립을 벗어나는 주역이 되었다. 전진당은 레드와 옐로를 합쳐진 '오렌지'를 선택해
서강대 동아연구소 ‘월간 태국’이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으로 서정인 고려대학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을 공개했다. 서정인 전 주아세안 대사는 외교부 공보과장 및 동남아과장, 남아시아태평양국장, 역임했다. 이후 아세안 대사, 태국 공사참사관에서 최근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까지 20여년 이상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업무를 했다. <한-아세안 외교 30년을 말한다>(2019), <아세안의 시간>(2019) 단행본 공동 편집 및 특별기고를 했으며, 정기 간행물 외교지 기고 및 아시아 경제, 부산일보 고정 칼럼을 비롯해 매경, 한국 등 일간지에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기고를 했다. 현재 서정인 대사는 고려대 아세안 센터 연구위원,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이사, 아세안안보포럼 전문가 그룹(ARF EEPs) 일원이며 카카오스토리에 아세안 편지를 쓰고 있다. 월간 태국’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 일시: 2023년 9월 22일 금요일 오후 4시 강연 제목: 격변의 태국: 태국의 현재와 미래 강연자: 서정인 (고려대학교 아세안 센터 연구위원) 사회: 현시내(서강대 동아연구소) 장소: 서강대학교 다산관 DB
지난 5월 14일 태국에서 총선이 치러졌다. 총선 결과, 야권의 까우끌라이당(전진당)이 제1당을 차지하고 프어타이당이 제2당을 차지했다. 양당 중심으로 야권연합세력을 구축해서 하원 312석을 확보하고 까우끌라이당의 피타 림짜른랏을 총리 후보로 내세웠다. 하지만 1, 2차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치러진 총리 선출투표에서 피타 후보는 과반 동의를 얻지 못했다. 현행 총리 선출방식에 따르면 총리는 상-하원 합동회의(상원250석과 하원 500석)에서 양원의 과반수(376표)의 지지를 받아야 당선될 수 있다. 구 여권을 지지하는 상원의 반대로 총리 선출에 실패한 까우끌라이당은 야권연합내의 제2당인 프어타이당에게 총리선출권을 넘겨주었다. 프어타이당은 기존의 야권연대를 깨고 까우끌라이당을 배제한 채 구여권 친군부 정당인 품짜이타이당, 팔랑쁘라차랏당, 루엄타이쌍찻당 등과 연대했다. 그리고 상원의 지지를 받아 프어타이당의 쎗타 타위씬이 과반을 훨씬 상회하는 482표를 얻어 총리로 당선됐다. 결국 프어타이당은 오랫동안 정치적 적대관계를 유지해온 군부와 집권을 위해 한 배를 탄 셈이 돼 까우끌라이당과 프어타이당 내 강경세력 및 시민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게 됐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