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세계건설 상장폐지 수순…‘이마트 지분 90% 이상 확보?’

9월 30일부터 1달간 공개매수 진행
대주주 지분 95% 이상일 시 진행 가능.

 

이마트가 신세계건설의 자발적 상장폐지를 위해 기존 보유분과 함께 신세계건설 자사주를 제외한 의결권 지분 90%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월 30일 이마트는 9월 30일부터 10월 30일까지 1달 간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사인 신세계건설 기명식 보통주식 212만 661주(발행주식총수의 27.33%)의 공개매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매수는 이마트가 가진 보통주 546만 8,461주(70.46%)와 신세계건설 자사주 17만 1,432주(2.21%)를 제외한 나머지 주식을 모두 사들여 자발적 상장 폐지 요건인 대주주 지분 95% 이상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다.

 

매수가는 주당 1만 8,300원으로 제시됐는데 이사회 의결 전인 지난 8월 26일 종가(1만 5,370원)보다 19%가량 높은 액수다.

 

이마트는 공개매수 목표량의 100%를 매입하지는 못했지만, 기존에 가진 70.46%와 신세계건설 자사주 2.21%, 이번에 확보한 지분 등을 합쳐 신세계건설 지분 가운데 90% 이상을 우호 지분으로 확보했다.

 

이에 따라 이마트는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한 상장폐지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신세계건설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2022년 이후 2년 연속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이마트 실적 악화의 최대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마트는 신세계건설의 자진 상폐를 계기로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지배구조 단순화 및 신속한 사업 재편으로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신세계건설 주가는 공개매수를 발표한 지난 8월 30일 종가가 1만 8,16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3.15% 올랐다.

 

이후 1만 8,100원∼1만 8,200원 대에 거래되면서 1만 8,110원에 마치는 등 공개매수 가격인 1만 8,300원을 넘지는 않았다.

 

이마트는 신세계건설의 자진 상폐를 통해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신속하게 사업을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2023년부터 유동성 위기가 부각된 신세계건설에 그룹 차원의 자금 지원을 지속해왔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