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높은 인하? 미국 경제 상당히 어려운 상황일까?"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가 기준 금리를 0.5% 인하했다. 명분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연방준비제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보도자료를 통해서 기준금리를 1.00~1.25%로 0.5% 포인트로 인하한다는 내용을 공지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FOMC가 화상 콘퍼런스에서 금리인하를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연준이 0.5% 포인트 인하한 것은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8년 12월 이후 연준이 최대 폭이었다.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경기둔화를 심각한 악재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는 오히려 급락했다.
지난 2월 28일 미국 연준 제롬 파웰(Jerome Hayden Powell) 의장은 성명을 통해 “미국 경제의 펀더멘탈은 여전히 강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경제 활동에 위험이 계속 진화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향후 경제적 위기 상황을 살펴보며 경제를 지지하기 위한 여러 수단을 사용해 사태에 적절한 대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고, 이후 4일만에 기준 금리를 인하하는 행동에 나선 것이다.
연준은 2019년 12월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2020년 1월에 성명을 통해 현재의 통화정책이 경제 상황에 적절하다고 판단한다는 배경을 설명했다. 이 때문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적 위험을 연준에서 파격적인 조치를 취할 만큼 큰 위험으로 평가했다고 볼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후에 있을 FOMC에서 추가적인 기준 금리가 인하가 결정될지의 여부와 G7으로 대표되는 선진국들의 기준금리 인하 여부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 연준의 금리인하가 주목받는 이유는 전세계 증권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세계 경제의 주춧돌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미 연준은 미국 중앙은행 시스템이면서 세계 경제의 기축통화 역할을 하는 달러를 발행하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연준의 정책에 세계 경제 지표가 요동친다.
2018년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가 선전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20명 중 11위에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포함되어 있다.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 KBE) 전 연준의장은 경제학에 ‘그린스펀 효과’라는 말을 만들만큼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다.
미국의 기준 금리가 인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대체적으로 주가 상승의 기대감을 부른다. 한국에서는 외국인 자본의 해외유출이 줄어 투자 시장이 활성화된다는 기대가 퍼지게 된다.
반대로, 원화 대비 달러 환율은 하락하게 되면서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고 수입 경쟁력이 상승하게 되어 투자 시장 활성화와 반대로 무역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산업에는 타격이 올 수 있다.
이미 코로나19에 의해서 국내 수출에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 인하가 수출 환경에 추가적인 타격을 가할 가능성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선제적 대처와 국내 기준금리의 변동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