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공공아파트(HDB) 매매 가격이 10억 원을 넘는 일이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5월 31일 부동산 포털에 등록된 HDB 매물을 보면, 프러퍼티구루(PropertyGuru)에 757개의 매물이 10억원이 넘는 가격으로 올라와 있으며, 99그룹이 운영하는 99.co에는 729개의 매물이 올라와 있다. 15억 원이 넘는 HDB도 있다. 프러퍼티구루에 29개, 99.co에 28개이다. 10억 원이 넘는 아파트의 대부분은 칼랑 왐포아(Kallang-Whampoa) 지역, 토아 파요(Toa Payoh), 부킷 메라(Bukit Merah), 티옹 바루(Tiong Bahru), 클레멘티(Clementi), 퀸스타운(Queenstown) 및 앙 모 키오(Ang Mo Kio)에 집중되어 있다. HDB 재판매 가격은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2024년 1분기 HDB 재판매 가격은 1.8% 상승해 16분기 연속해 올랐다. 2024년 1분기 재판매 거래량도 2023년 4분기 6,547건에서 7,068건으로 분기별로 8% 증가했으며 , HDB 재판매 아파트 185채가 최소 10억 원에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다. 싱가포르의 24개 HDB 타운과 3개 부동산(J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의 양자기술센터(CQT, Centre of Quantum Technologies)가 국가연구센터로 승격된다. 헝 스위 키트(Heng Swee Keat) 부총리 겸 국립연구재단(NRF) 회장은 5월 30일 열린 아시아테크x서밋(ATxSummit) 개회사에서 국가양자전략(NQS) 발표하면서 NUS 양자기술센터를 국가연구센터로 승격하겠다고 말했다. 국가 양자 전략(NQS)은 앞으로 5년간 싱가포르의 양자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3억 싱가포르달러(3천억원)를 투자하는 계획이다. NUS의 양자기술센터가 대표적인 국가 R&D센터로 승격되면 전국의 연구 인력을 조율하고 연구자 주도의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우주항공청 및 난양기술대 등 다른 대학에 노드를 두고 호스트 기관 역할을 하게 된다. 국립 센터로서 양자기술센터는 기초 과학, 양자 통신 및 암호화, 양자 프로세서 및 컴퓨팅, 양자 감지 분야의 연구에 중점을 두게 된다. 양자기술센터의 과학자들은 대규모 양자 시스템 제어, 양자 인터넷 기술 개발, 양자 컴퓨팅 플랫폼 강화, GPS 및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지구 역학 및 원자 시계 연구에서 중력 측정과 같은 분야의 양자 감지 발전을 목표
2022년 갑작스럽게 찾아온 인공지능(AI) 시대. 사고력 있는 컴퓨터가 수많은 사람들을 실업자로 내몰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했다. 그러나 실제로 인공지능은 대량 실업을 초래하는 대신, 우리가 인공지능과 함께 일할 수 있다는 조건 하에 과거보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의 모든 기술적 혁신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던 것으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농업에 종사했고 그 다음에는 중공업에 종사했으며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냉방 시설이 갖춰진 편안한 건물에서 일하거나, 기계가 모든 힘든 일을 대신하는 동안 집에서 원격으로 일하고 있다. 최근 PwC의 <AI 일자리 바로미터(Barometer) 보고서>는 AI가 우리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 싱가포르 연구 결과 12년 전인 2012년 싱가포르에서 1000 개의 구인광고 중 단 한 개만이 AI 기술, 즉 머신 러닝 분야 엔지니어를 요구했다. 하지만 PwC가 글로벌 노동시장 분석기업인 라이트캐스트(Lightcast)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에 따르면 2022년에는 이 수치가 50개에 달했다. 싱가폴 구인 광고의 5%가 AI 관련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 라자다(Lazada)가 모회사인 알리바바로부터 3100억 원의 추가 투자를 받는다. 라자다는 알리바바의 투자금으로 물류 시스템과 기술 인프라를 개선하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라자다는 이번 투자까지 포함해 알리바바에게 총10조 4000억원을 투자 받았지만, 동남아 1위 자리를 쇼피(shopee)에게 빼앗겨 2위로 밀렸다. 컨설팅업체인 모멘투스웍스(Mmentus Works)의 ‘동남아 전자상거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동남아시아 온라인 쇼핑 거래 규모(GMV, 상품판매량)는 995억 달러(약135조8000억원)다. 이 중 쇼피의 GMV는 479억 달러(약66조9000억원)로 전체 GMV의 48%다. 라자다의 GMV는 201억 달러(약27조4000억원)로 쇼피의 42% 수준이다. 라자다는 그동안 알라바바의 과도한 개입, 인도네시아에서의 시장 적응 실패, 잦은CEO교체로 혼란을 겪어왔다. 한편 라자다가 1월 초 100명이 넘는 직원을 갑자기 해고한 후 낮은 퇴직금을 지급해 발생했던 분쟁이 해결됐다. 블칸포스트에 따르면 라자다는 해고한 직원들에게 재직 연수 1년마다 2주치 급여에
다국적 제약 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시설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를 생산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15억 달러(약 2조원) 규모의 제조 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ADC는 항체와 약물을 결합한 항암제로 차세대 암 치료에 사용된다. 경제 개발청(EDB)이 지원하는 신규 공장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첫 번째 ADC 생산 시설로, 복잡한 ADC 제조 과정을 상용화 규모로 완전히 통합하게 된다. 경제개발청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제약 및 바이오 기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싱가포르가 공공 부문 연구에 250억 싱가폴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4대 전략 분야 중 하나이다. 펭청분(Png Cheong Boon) 경제개발청 이사장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싱가포르 공장은 암을 정밀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항체약물접합체를 생산하는 완전한 제조 시설이다. 이 신규 투자는 싱가포르의 바이오 제약 제조 역량과 인재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보여준다. 신규 투자는 정밀 의약품 개발 및 제조 생태계를 강화하고, 의미 있는 일자리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한다. 아스트라제네카와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싱가포르는 2022년에 190억 싱가포르달러(약10조원)의 제약 제품을 수출했다. 파
5월 21일 런던에서 싱가포르로 향하는 싱가포르항공(SIA) SQ321편이 극심한 난기류를 만나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 비상착륙했다. 73세 영국 남성이 심장마비(추정)로 사망하고 최소 30명이 부상했으며 일부는 중상이다. 이번 사건의 원인은 난기류일 가능성이 크다. 난기류는 공기의 흐름, 즉 기류가 예측할 수 없이 불규칙한 난류 형태를 띠는 것을 말한다. 대기압, 뇌우, 또는 제트기류라 불리는 강한 기류에 의해 생성된다. 비행기가 난기류로 인해 흔들리거나 빠르게 고도를 잃을 수 있지만 이번 사고의 기종인 보잉777-300ER 크기의 항공기가 갑자기 급강하하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비행 추적 데이터에 따르면 SQ321은 4분 이내에 1800미터나 떨어졌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기상 레이더에 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난기류를 감지할 수 있다. CNA와 인터뷰한 샨타누 강가케드카르(Shantanu Gangakhedkar) 프로스트앤설리반 수석항공 컨설턴트는 “구름의 움직임으로 인해 난기류가 발생하면 조종사에게 경고를 보내 이를 피하거나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알린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난기류는 눈에 보이는 징후 없이
싱가포르 항공(SIA그룹)이 사상 최대 매출과 이익을 달성했다. SIA그룹은 2023/2024회계연도에 190억1300만 싱가포르달러(약19조89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전년도에 비해 7.0%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 증가율은 더 컸다. 지난해 21억 6천만 싱가포르 달러(약2조1600억원)보다 24.0% 증가한 26억 8천만 싱가포르달러(약2조6900억원)를 기록했다. 주주들에게는 더 높은 배당금을, 직원들에게는 큰 연말 보너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트레이츠 타임스는 고춘풍(Goh Choon Phong) SIA CEO가 내부 이메일을 통해 "조종사를 포함한 직원들에게 7.94개월치 급여에 해당하는 이익배분 보너스를 지급하겠다"고 보도했다. 2023/2024 회계연도 동안 SIA는 COVID-19 팬데믹의 마지막 여행 제한이 완전히 해제되면서 수요증가가 일어 났으며 특히 중국, 홍콩, 일본, 대만 등지에서 항공 여행 수요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를 통해 SIA와 저가 항공사 스쿠트(Scoot)는 더 많은 노선과 항공편을 추가하여 여객 수를 전년 대비 37.6% 증가한 3640만 명으로 늘렸다. 2024년 3월 31일 기준, 그룹 운영 기종은 평균
싱가포르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부유한 도시에 올랐다. 글로벌 투자이민 컨설팅업체인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7일 발표한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에 자산이 100만 달러(13억6천만원)가 넘는 백만장자는 24만4800명이다. 싱가포르 인구 605만 명 중 4%가 백만장자인 셈이다. 1억 달러(1360억원) 이상인 부자는 336명, 10억 달러(1조3600억원) 이상을 가지고 있는 억만장자는 30명이다. 기업 친화적인 도시로 알려진 싱가포르는 고액자산가들이 선호하는 목적지 중 하나다. 2023년 한 해에만 3400명의 백만장자들이 싱가포르로 이주했다. 10년 동안 백만장자 증가율은 64%나 된다. 지난 해 5위에서 런던을 제치고 4위에 오른 싱가포르는 추세로 보면 머지않아 3위에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1위는 빅 애플(Big Apple)이란 애칭을 가진 뉴욕이다. 빅 애플 주민들이 보유한 총 부는 G20 국가가 보유한 부보다 많은 3조 달러(4000조원)를 넘는다. 백만장자는 34만9500명, 1억 달러 이상은 744명, 10억 달러 이상 억만장자는 60명에 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