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5대 금융지주가 개최한 이사회에서 주요 안건 중 사외이사가 반대표를 던진 것은 단 1건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제도가 사실상 ‘거수기’ 역할을 한다는 비판에 지난 2023년에 금융당국은 지배구조 모범관행을 만들었지만, 여전히 대부분 안건에서는 찬성표를 던지는 등 경영에 대한 감시와 견제는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지난 8월 16일 KB금융그룹・신한금융그룹・하나금융그룹・우리금융그룹・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퇴임한 신한금융그룹 이윤재 사외이사는 지난 2월에 열린 보수위원회에서 반대표를 행사했다. 이윤재 사외이사는 지난 2023년 그룹 최고경영자(CEO) 성과평가 확정의 건, 자회사 성과평가의 건, 보수체계 설계 및 운영의 적정성 평가의 건에서 일부 평가에 이견을 보이며 반대표를 던졌으나, 나머지 사외의사들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다른 5대 금융지주의 이사회에서 사외이사들도 모든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 한편 반대 의견을 기권으로 표시한 곳도 있었다. 지난 3월 26일 KB국민은행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릴 고객 보상 자율조정안을 결의했고, 내용이 보완 후 3월 29일
지난 7월 25일 코람코자산신탁(이하 ‘코람코’)는 국민연금이 출자한 리츠의 마지막 자산인 서울 삼성동 골든타워를 매각하면 약 7%의 최종 수익률(Net IRR)이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청산하게 될 경우 국민연금은 최초 출자금 대비 2배 넘는 수익을 실현하게 된다. 지난 2006년 국민연금 코어(Core) 전략 리츠인 코람코자산신탁의 ‘코크랩NPS 1호 리츠(NPS 1호)’에 7,870억 원을 출자했으며 현재 국내 최장수 리츠로 남아있다. 리츠는 설립 후 18년간 연 5~8%의 수익을 국민연금에 꾸준히 배당했다. 국민연금은 출자금의 2배가 넘는 총 1조 6,800억 원의 자금을 회수하는 성과를 거둘 예정이다. NPS 1호 자산관리회사 코람코자산신탁은 지난 7월 17일 싱가포르계 캐피탈랜드자산운용과 골든타워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거래금액은 약 4,400억 원으로 오는 7월 31일에 잔금 납입과 등기 이전이 마무리할 예정이다. NPS 1호 리츠는 이번 매매로 약 2,000억 원의 매각 차익을 포함해 누적 약 6,000억 원을 회수하게 된다. 골든타워는 서울 강남구 삼성역 인근 지하 7층~지상 20층, 연면적 4,0480.06㎡(약 12,245평) 규모의 오
베트남 저비용항공사(LCC) 비엣젯항공(Vietjet Air)이 에어버스 항공기 20대를 도입한다. 지난 7월 22일 비엣젯항공과 에어버스는 영국 햄프셔주 판버러에서 개막한 판버러에어쇼(Farnborough Airshow)에서 차세대 광동체 항공기 A330neo기 20대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구매대금만 74억 달러(원화 약 10조 6,042억 원)에 이른다. 비엣젯항공 응웬 티 프엉 타오(Nguyen Thi Phuong Thao) 회장은 “뛰어난 연료 효율을 자랑하는 에어버스A330neo기 도입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우리의 지속가능 개발전략의 일부다.”라며 “새 기체는 현재 운항중인 A330-300기를 대체해 향후 국내외 운송망을 확충해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어버스 브루아 드 생텍쥐페리(Benoît de Saint-Exupéry) 영업 총괄부사장은 “A330neo기는 장・단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국내외 노선 모두에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는 기체.”라며 “이번 항공기 도입은 비엣젯항공이 연료절감은 물론 탄소배출을 줄이면서 더 많은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100여대의 항공기를 보유중인 비
캐나다 정부는 이민자 증가를 늦추기 위해 외국인 학생에 대한 졸업 후 취업비자 발급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캐나다 이민부 마크 밀러(Marc Miller) 장관은 “캐나다는 수년간 대학을 통해 교육받은 노동연령의 이민자들을 데려왔다.”며 “그러나 지금은 학생 비자를 갖고 있다고 해서 졸업 후 체류권이나 시민권을 받는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는 물가 상승과 주택 공급 부족, 실업률 상승 등으로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캐나다 정부는 2024년 연초 유학생 수를 줄이고 물가상승률을 완화하기 위해 국제학생비자 발급 상한선을 두겠다고 발표하면서 학생비자 발급이 2023년 43만 7,000장보다 현저히 적은 30만 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동안 외국인 학생들은 캐나다에서 대학교육을 마친 뒤 졸업 후 취업비자를 신청하고 캐나다에 계속 머물 수 있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이런 비자 소지자는 빠르게 늘어 2022년 졸업 후 취업비자를 받는 사람은 13만 2,000명으로 4년 전보다 78% 늘어난다. 이민부는 졸업 후 캐나다에 남아 일할 외국인 학생 수를 통제하기 위해 이 같은 비자 발급을 검토
대구신용보증재단(이하 ‘대구신보’)이 반년 만에 출연・보증공급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지역 소기업, 소상공인에 신규로 지원한 보증공급액은 8,000억 원을 초과하면 코로나19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7월 11일 대구신보에 따르면 대구신보가 2024년 올해 들어 7월 초까지 확보한 출연금은 약 582억 원으로, 지난 2023년 전체 출연금 431억 원을 초과했다. 지난 2023년 전반기만에 확보한 출연금 299억 원과 비교하면 약 1.9배 수준이다. 대구시는 소기업, 소상공인에 대한 안정적인 보증 공급을 위해 출연금을 작년 100억 원에서 200억 원으로 2배 증액했고, iM뱅크(대구은행)는 역대 금융기관 최대 금액인 180억 원을 출연했다. 또한 ▲달성군 ▲달서구 ▲중구 ▲북구 ▲수성구 서구 ▲중구 등 7개 기초지자체에서 특별출연금 20억 원을 확보했고, ▲카카오뱅크 ▲국민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SC제일은행 등 7개 은행에서 특별출연금 123억 원을 출연받아 재정 건전성을 높였다. 지난 6월 18일 ‘지역신용보증재단 시행령’이 개정 시행되면서 금융기관 출연을 확대할 여건도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지역신보
IBK기업은행이 오는 7월 22일 수원상공회의소에서 프랜차이즈 창업 플랫폼 마이프차와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을 희망하는 고객을 위해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프랜차이즈 창업 성공전략’ 무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나에게 적합한 브랜드 및 상권 알아보기, 똑똑한 가맹점주가 되기 위한 팁, 프랜차이즈 가맹점주가 꼭 알아야 할 세무‧노무 상식, 2024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금융 지원 안내 등 프랜차이즈 창업을 위해서 꼭 알아야 할 실전 교육으로 구성된다. 참여자에게는 마이프차 상권분석 서비스 1개월 무료 이용권, 1:1 창업 현장컨설팅 및 창업 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금융 금리우대를 위한 수료증 등을 제공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을 희망하는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17일까지 기업은행 홈페이지에서 신청 할 수 있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예비 창업자가 안정적으로 창업에 도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올해 수원 외 인천, 부산 등 프랜차이즈 창업 관심도가 높은 지역에서 교육을 추가로 진행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거점지역에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단기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에 미국 머니마켓펀드(MMF)의 총자산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7월 3일 미국자산운용협회(ICI)에 따르면, 7월 2일 기준 1주일 도안 MMF로 3개월 내 최대 규모인 약 512억 달러(원화 약 70조 7000억 원)가 유입됐다. MMF의 총자산은 6조 1,500억 달러(원화 약 8,497조 원)로 MMF 역사상 최고치다. 유형별로 볼 때 재무부 증권(TB), 환매조건부채권(RP), 기관 부채 등에 주로 투자하는 정부기금 MMF의 총자산이 1해당 기간 445억 달러(원화 약 61조 4,856억 원) 증가하면서 4조 9,700억 달러(원화 약 6,868조 원)로 증가했다. 기업어음(CP)과 같은 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프라임 MMF는 동기간 46억 달러(원화 약 6조 2,185억 원) 증가한 1조 500억 달러(원화 약 1,450조 원)이 됐다. 머니마켓펀드(MMF)는 단기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으로 입출금이 자유로운 요구불예금과 함께 전형적인 ‘대기성 자금’이다. 연방준비제도(Fed)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치솟는 인플레이션에 2022년부터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서자 M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행복주택 2026세대를 공급한다. SH공사는 방화동 행복주택 등 2026세대의 행복주택 입주자(서울리츠 행복주택 포함)를 모집한다고 28일 밝혔다. 행복주택에는 서울리츠 행복주택도 포함된다. 행복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주변시세의 60∼80% 금액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거주 기간은 대학생이나 청년은 6년,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10년, 고령자는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이번 공급 대상은 고덕강일 2블록 행복주택 등 신규단지 795세대와 기존 입주자 퇴거, 계약 취소 등으로 발생한 잔여 주택 331세대, 예비입주자 900세대이다. 모집분의 면적별 평균 보증금 및 임대료는 ▲ 전용 29㎡ 이하 보증금 5,682만 원에 임대료 23만 원 ▲ 전용 39㎡ 이하 보증금 1억360만 원에 임대료 40만 원 ▲ 전용 49㎡ 이하 보증금 1억4,440만 원에 임대료 55만 원 ▲ 전용 59㎡ 이하 보증금 1억7,200만 원에 임대료 67만 원이다. 기존 행복주택 입주자도 다른 행복주택에 자유롭게 재청약이 가능하며, 각각의 행복주택 거주기간을 합산해 거주기간 제한 적용을 받는다. 입주자 모집 공고일(6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