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외 최다 노출 보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베트남 호치민이네.” 매회마다 넷플릭스 시청률 1위 국가를 늘려 나가고 있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Extraordinary Attorney Woo, 이하 '우영우')가 아시아권 매체에서도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씨전(Cision)’C3 미디어 모니터링에 따르면 ‘우영우’가 전세계에서 BTS(방탄소년단)를 제치고 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한류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 방영일인 6월말부터 12화가 방영된 8월 4일까지 전세계 각국 언어로 미디어 모니터링한 결과 아시아에서만 32만개 기사가 우영우를 다뤘다. 전세계 매체에서 가장 많이 우영우를 다룬 날짜는 8회 에피소드 방영 다음날인 7월 22일이었다. 이날은 CNN에서도 우영우를 ‘제2의 오징어게임’이라고 다룬 날이다. 최다 노출 1위인 한국에 뒤이어 인도네시아, 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가 각각 순위를 이어갔고 이어서 홍콩, 태국, 싱가포르, 중국, 인도 순서로 이어졌다. 도시별로는 자카르타, 호치민, 도쿄 순이며 소셜미디어에서는 페이스북이 17만 6,000회 공유라는 압도적인 수치를 보여주었다. 주연배우인 박은빈(朴恩斌, Park Eun Bin)
인도네시아협력원(Indonesia Centre)이 인도네시아 명문대학 아이르랑가 대학교 소속 전문가 3인을 초청한다. 그린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한다. 인도네시아협력원(원장 김예겸)은 부산국제교류재단(사무총장 정종필)과 협력하여 3개월(2022년 6~9월) 동안 부산시의 인도네시아 자매결연 도시인 수라바야(Surabaya) 소재 아이르랑가(Airlangga) 대학교 소속 전문가 3인을 초청한다. ‘그린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부산 글로벌 컨설팅(Busan Global Consulting Project for Green Smart City)’을 진행한다. 아이르랑가 대학교는 2022년 기준 QS 세계대학 평가에서 인도네시아 국내 4위, 전세계 369위의 인도네시아 명문대학교이다. 해당 사업은 부산국제교류재단이 부산 그린스마트시티 국제개발컨설팅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재단에서 국제협력을 위해서 선별한 3개국(9명의 전문가), 3개 컨셉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본 사업을 위해서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탄자니아 등 3개 국가가 선별되었다. 니카라과는 해양 및 어업 분야, 탄자니아는 영화와 미디어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그린 모빌리티 분야를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김홍구)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학과는 7월 25일~8월 19일 한 달 동안 인도네시아 발리 소재 우다야나 국립대(Universitas Udayana)와 협력하여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학과 1~2년을 재학생을 대상으로 언어문화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본 사업은 특수외국어사업단(단장 배양수)의 해외파견사업의 일환이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저학년들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부산외대형 현지 친화 프로그램 중의 하나다. 인도네시아 파견 학생들은 현재 교육비, 왕복항공료 및 해외여행 보험료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언어문화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들은 한 달 동안 우다야나 국립대에서 인도네시아 공인 언어과정인 비파(BIPA) A2과정을 이수하면서 현지 마을 문화탐방, 현지 쿠킹 클라스, 현지 UNESCO 문화유산 탐방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 1인과 현지 대학교 학생 2명이 3인 1조가 되어 한 달 동안 집중적으로 동료학습(Peer Learning)을 진행한다. 각 조별로 인도네시아 콘텐츠, 발리문화 콘텐츠 그리고 한국과 인도네시아 비교문화 콘텐츠를 공동으로 제작하여 유튜브(YouTube
인도네시아를 국빈 방문(7월 19~20일)했던 라모스 호르타(Ramos-Horta) 동티모르 대통령은 7월 19일 인도네시아가 아세안 의장직을 수임하는 2023년 아세안 공식 가입을 희망했다. 지난 20일 스트레이트 타임즈(Straits Times)에 따르면 “라모스 호르타 대통령(2007-2012년간 대통령직 역임)은 지난 4월 대통령으로 재선출된 이후 해외 첫 순방지로 인도네시아를 선정,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회담 진행”했다. 그는 “지리적으로 동남아에 속한 동티모르는 경제 및 민주화 등 아세안 가입 요건의 상당 부분을 충족시켰다. 생산적인 아세안 회원국 일원으로 지역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동티모르는 2011년 아세안 회원국 지위를 신청하였으며, 현재 옵저버 지위를 누리고 있다. 조코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의 對동티모르(에너지, 금융 및 정보통신 분야) 투자는 총 8억 1,800만 달러다. 두 나라가의 교역규모를 점차 확대해나가자”고 말했다. 인구 130만 규모의 동티모르 경제는 석유와 가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경제 다변화와 높은 빈곤율 경감 대책을 적극 모색 중이다. 동티모르의 평화적인 갈등 해결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한국이 인도네시아 신수도(IKN) 누산타라에 총 8조 3255억원 투자한다.” 안타라 뉴스(Antara News) 7월 28일자에 따르면 “조코위(Jokowi)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한국이 총 63억7000만 달러(약 8조 3255억 9000만 원)를 투자해 신수도(IKN) 누산타라 개발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조코위는 28일 서울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식수 시스템 개발과 스마트시티 건설 역량 구축 등 누산타라 IKN 개발 협력도 시작했다. 5만800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국의 IKN 개발 지원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 철강 회사인 PT 크라커타우 철강(PT Krakatau Steel), 투자부, 한국의 포스코(POSCO) 홀딩스가 투자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 체결했다. 크라커타우 철강과 포스코는 특히 전기 자동차 생산을 위한 철강 생산 능력 확장과 IKN 개발에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협력에 따른 투자 규모는 35억 달러(약 4조 574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 정부는 또 동칼리만탄주에 IKN 누산타라 폐수처리장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공공사업 및 공공주택부 장관 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베이징에서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조코위 대통령 부부는 이틀 간 중국을 방문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의 아내 펑리위안도 인도네시아 영부인 이리아나 조코 위도도와 만났다. 이 자리에서 “인도네시아는 중국 관광객들 사이에서 두 번째로 인기 많은 국가다. 중요한 이웃 국가인 중국과 인도네시아가 오랫동안 우정을 지켜왔다. 최근 몇 년 사이 대인 교류가 왕성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205만명이 넘어 전체 국제 방문객 중 14.95%를 차지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휴양섬 ‘발리’ 외국 관광객 중 중국 관광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리아나는 “더 많은 중국 관광객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환영하며, 양국의 우정이 오래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2015년부터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에 따라 중국 관광객은 30일 동안 비자 없이 인도네시아에서 머물 수 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공동 성명문에서 인도네시아 학생들의 중국 귀환을 포함하여 대인 교류 재개 속도를 높이고, 더 많은 직행편을 열며, 교육, 관광,
조코 위도도(조코위)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한국형 전투기 KF-21 개발사업 미납금 해결을 위한 양국간 협의에 나서자고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2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국과 인도네시아간 첫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에게 이같이 말하며 실무협의에 나설 뜻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코위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한국형 전투기 KF-21 개발사업 미납금 해결을 위한 양국간 협의에 나서자고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인도네시아는 KF-21 공동 개발에 참여해 전체 사업비의 20%인 약 1조6000억 원을 분담하고 시제기 1대와 기술 자료 등을 넘겨받기로 했다. 그러나 2016년 사업 시행 후 2272억 원만 납부했고 이듬해부터 경제 사정을 이유로 분담금 지급을 미뤄 연체액이 현재 약 8000억 원까지 불어난 상황이다. 두 나라는 지난해 11월 전체 분담금 규모는 유지하되 분담금 약 30%를 인도네시아 특산물인 팜유 등의 현물로 지급하는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큰 진척이 없었다. 이처럼 분담금 문제가 지지부진하다 보니 지난 19일 KF-21의 역사적인 첫 시험비행 성공 당시 일부 네티즌들은 KF-2
박진 외교부 장관은 27일 김창범 전 인도네시아 대사를 태평양도서국 담당 정부대표로 임명했다. 태평양도서국은 14개국이다. 파푸아뉴기니, 피지, 솔로몬제도, 바누아투, 마이크로네시아연방, 팔라우, 마셜제도, 키리바시, 나우루, 사모아, 통가, 투발루, 쿡제도, 니우에 등이다. 이번 정부의 태평양도서국 담당 정부대표 임명은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태평양도서국과의 소통과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김창범 대표는 외교부 평화체제교섭기획단장,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주벨기에유럽연합대사, 주인도네시아대사 등을 역임했다. 풍부한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태평양도서국 대상 다양한 외교 활동을 통해 동 지역과의 관계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제4차 한-태평양도서국 외교장관회의 계기 협의체의 정상급 격상에 합의한 바 있다. 올해 하반기 제5차 외교장관회의 개최도 준비하는 등 동 지역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 나가고 있다. 김창범 태평양도서국 담당 정부대표는 “태평양 도서 지역은 지리적으로 멀고, 낭만의 휴양지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기후위기가 가장 심각하게 진행중인 현장이자, 해저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14개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