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5차 아세안포럼 ‘한 미얀마 경제협력 국제심포지엄’이 20일 온라인 ‘Zoom 화상회의’(웹비나:Webinar, 웹+세미나)로 진행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11월 25일, 12월 4일 국회 제1세미나실에 열릴 심포지엄이 두 차례 연기되었다. 오프라인 행사마저 온라인으로 바뀌었다. 20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었다. 미얀마 측에서 우 딴 신(U Than Sin) 주한 미얀마대사가 축사를 했다. 윈 빠빠뚜(Win PaPa Thu) 주한 미얀마대사관 경제참사관이 대리로 했다. 하영제 국회의원, 송영길 국회 외통위 위원장, 윤창원 국회의원이 축사를 전해왔다. ■ 정재완 박사 ‘미얀마 농림업 분야 개발협력 방안’ 발표 주제발표는 정재완 박사(KIEP 선임연구원)가 ‘미얀마 농림업 분야 개발협력 방안’을 했고, 윈 빠빠뚜 경제참사관이 ‘한국과 미얀마 양국간의 경제협력과 추세’를 발표했다. 정재완 박사는 “1992년 KIEP 입사 이후 첫 연구가 미얀마였다. 남북으로 긴 미얀마는 한반도보다 3배다. 미얀마는 전체 국토의 19%가 농지다. 농업 인구가 70%고 노동자의 48%다. 낙후된 기술과 낮은 생산성이 문제다”고 소개했다. 이어 “또한 아세안 지역
“미얀마는 더 이상 후진국이 아니다.” 미얀마가 유엔 후진국 국가(LDC:Least developed country)에서 1월 제외되었다. 미얀마 현지 미디어 7day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와 유엔 상주 코디네이터는 1월 6일에 만나 최빈국 목록에서 미얀마의 제외를 논의했다. 기획재정부 장관 우 서윈(U Soe Win)이 참석했다. 미얀마는 1987년에 후진국(최빈 개도국 LDC)으로 등재되었다.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 사무소(OIC)인 오라 알엠그렌(Ola Almgren)에 따르면 미얀마는 2018년에 개발 도상국(LDC) 목록에서 제외하는 세 가지 지표를 충족했다. 미얀마 소재 유엔(UN) 사무소에 따르면 이는 3년마다 점검한다. 미얀마는 내년 2월에 재검토한다. 그는 “미얀마가 3~5년의 개혁 끝에 최빈국 목록에서 풀렸다”고 말했다. 분기별 검토에서 LDC 국가 기준은 1인당 소득(GNI)을 1230달러(약 135만 7305원) 초과해야 한다. 인적 자본 지수 (HAI)는 66이상이어야하며 경제적 취약성 지수(EVI)는 32 미만 이어야 한다. 2018년 미얀마의 1인당 소득은 1255달러(약 138만 4892.50원)로 추정되었다. 인적 자본 지수는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 회장이 2021년 미얀마 진출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9월 미얀마 금융감독부로부터 주재사무소 설치인가를 받으며 법인 설립에 한발 다가섰다. 2021년 상반기 미얀마 금융당국이 외국계 보험사를 대상으로 법인설립 허가를 내줄 것으로 예상된다. 미얀마 보험시장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1월 6일자로 교보생명이 양곤 의학연구소에서 미얀마 보건체육부에 3만7000달러(약 4066만 3000원) 상당의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기부했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미얀마 의학연구부장, 주 미얀마 한국대사관 함정한 공사-김진수 상무관이 참석했다. 윤송철 교보생명 사무소장은 “교보생명은 2017년과 2018년 미얀마초등학교와 간호학교 건립 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사회적 책임 기업으로 미얀마 코로나19 퇴치에 일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미얀마의 국내총생산 대비 보험시장의 규모는 0.1% 미만으로 추산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미얀마 양곤 담당 무역관은 “1인당 소득이 증가하고 보험에 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생명보험 가입도 확대될 것”이라고
교보생명은 미얀마 보건체육부(MOHS: Ministry of Health & Sports)에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5천 명 분량을 기부했다고 13일 밝혔다. 교보생명에 따르면 지난 6일 미얀마 수도 양곤에서 보건체육부 산하 의학연구소(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 조탄툰(Zaw Than Htun) 국장, 주미얀마 한국대사관 함정한 공사 및 김진수 상무관, 교보생명 양곤주재사무소 윤송철 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달식이 열렸다. 이번 기부는 수년째 미얀마에서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는 교보생명이 미얀마 국민들의 코로나19 극복을 돕기 위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뤄졌으며, 전달식 역시 미얀마 보건당국의 예방수칙을 준수하며 진행됐다. 윤송철 교보생명 양곤주재사무소장은 "2017년부터 국경을 넘어 이어져온 교보생명과 미얀마의 두터운 우정을 바탕으로 작은 힘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이번 기부를 준비했다"며 "미얀마의 코로나19 진단 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보생명은 2017년 양곤 외곽의 타욱쩬 마을에 3층 규모의 초등학교 건물을 지어 기증하면서 미얀마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이후에도 매년 밍글라돈
산업은행은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동남아지역 영업기반을 확대하고자 미얀마 양곤 지점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4월, 개발금융 노하우 전수와 미얀마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 개발사업 중심 영업전략을 미얀마 정부 경제부처가 높게 평가하며 첫 번째 시도에서 지점 예비인가를 받은 바 있다. 이로써 산업은행은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방콕지점 철수 이후 22년 만에 인도차이나반도에 영업점을 다시 열 수 있게 됐다. 산업은행은 코로나 팬데믹 여파 속에서 미얀마 정부의 이동제한(Lock-down) 조치로 개점준비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방역물품 제공 등 사회공헌 계획을 실행에 옮기며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였다. 영업장 확보, IT인프라 구축, 영업기금 납입 등 본인가 요건을 충족하여 당초 일정 대로 성공리에 지점을 개점하였다. 산업은행은 기업금융과 PF 등 인프라 금융 분야의 경쟁력을 적극 활용하여 한국계 기업의 미얀마 진출과 현지 인프라 확충사업 참여를 지원하고, 미얀마 금융당국에 리스크관리, 중소기업 지원방안 등 그간 산은이 축적한 개발금융 노하우를 전수하여 한·미얀마 양국간 상생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 같은 한국은행
미얀마한인회(회장 이병수)가 직장을 잃거나 사업장의 휴-폐업 등으로 인해 어려운 한인동포를 돕기 위해 발을 벗고 나섰다. 한인회는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코로나19의 여파로 현재 실직 등과 사업장 휴-폐업 등으로 인해 생활고에 시달리는 한인 동포 가정을 위해 생필품과 간식-방역용품 등을 지원하는 희망 나눔 행사를 추진한다. 대상 인원 총 200가정으로 2021년 1월에서 4월까지 매달 50가정을 돕는다. 지급 시기는 매달 마지막주다. 지급 물품은 쌀 한포대(5kg), 라면, 김치, 돼지고기 등 생필품과 달력, 방역 마스크, 손소독제 등 방역용품 등이다. 직접 신청 또는 주변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추천하면 된다. 이 같은 취지에 동참하는 기업과 단체도 속속 합류했다. 희망 나눔 협찬내역을 보면 신한은행(지점장 강형훈) USD 1000, KPC(대표 이병수) USD 1000, 재미얀마 한국건설협회(회장 안동화) 방역 마스크 2만개, 쿠스식당(구희자 대표) 50만 짯, K-WORLD(법인장 정해진) USD 500 등이다. 이병수 미얀마한인회장은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현재 직장을 잃거나 사업장의 휴-폐업 등으로 인해 많은 한인 동포 가정이 어려움을 겪고
미얀마 정부가 양곤에 태국이 투자하는 ‘양곤 아마타 스마트 에코시티 공단 신도시(Yangon Amata Smart & Eco-City)’ 첫 삽을 떴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7일 양곤 동부 다곤 타운십에서 ‘양곤 아마타 스마트 에코시티 공단 신도시’ 착공식을 가졌다. ‘공단’은 총 2000에이커 부지에 약 10억 달러(1조 880억 원) 규모 프로젝트로 투자된다. 태국에 본사를 둔 아마타(Amata Corporation)와 건설부 산하 도시 및 주택 개발부(UHDD)가 공동으로 개발한다. UHDD는 개발 회사의 지분 20% 갖는다. 착공식에는 표 민 떼인(Phyo Min Thei) 미얀마 양곤 주지사, 닐 규어(Nilar Kyaw) 양곤지역 교통산업부 장관 등과 수 파트라 스리 마이트 리피 탁(Suphatra Srimaitreephithak) 주미얀마 태국 대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표 민 떼인 양곤 주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이번 사업으로 띨라와 경제특구와 한타와디(Hanthawaddy) 국제 공항을 연결하는 경제 통로로 양곤의 중요한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수 파트라 스리 마이트 리피 탁 주미얀마 태
“미얀마에서 한국인의 의지로 ‘제2의 한강의 기적’을 만드는 모습을 보고 싶다.” 지난해 말인 12월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KMIC)’ 기공식이 있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주도하는 최초의 해외 산업단지다. 미얀마 양곤시에서 북측으로 10km 떨어진 야웅니핀 지역에 2249천㎡ 규모로 조성된다. LH가 40%, 미얀마 정부가 40%, 글로벌세아(주)가 20% 출자한 합작법인을 통해 추진한다. 아웅산 수치 미얀마 고문은 “2019년 한-미얀마 비즈니스 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KMIC가 에야와디강 유역의 기적적인 혁신 창조를 지원하는 새로운 발판이 될 것”이라고 상기하면서 “미얀마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LH 이용삼 부사장의 인사말에서도 “한강의 기적과 같이 ‘양곤강의 기적’을 만드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신년 특집으로 현장에서 산단의 진행을 지켜보고 취재해온 미얀마 유일 한국어 비즈니스 웹진-뉴스사이트 ‘애드쇼파르’ 전창준 대표를 인터뷰를 했다. ■ KMIC, 중국 ‘일대일로’-일본 ODA 속 한국 ‘신남방정책’ 전환점 [질문 1] 우선 최근 "한강의 기적을 미얀마로"라는 평가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