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배양수 교수 “한국 최초 베트남 소설 소개, 작가들 경사처럼 기뻐했다”

‘베트남 유학생 1호’ 부산외대 베트남 교수...‘단편소설의 왕’ 응웬 후이 티엡 인연도 각별

 

배양수 부산외대 베트남어 교수는 유학 1세대로 한국 최초 베트남 유학생이다.

 

그가 베트남에 처음 갔던 1988년 10월 19일은 88올림픽 폐막식 날이었다. 그의 유학 기간은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준비하고 있던 시기와 수교를 시작한 시점을 가로지른다.

 

그는 도이머이(Đổi mới: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 이후 1992년 9월부터 하노이사범대학교에서 유학을 했다. 1964년 한국 베트남 전쟁 파병, 1975년 북베트남의 베트남 통일 등 긴장관계였던 두 나라는 1992년 12월 22일 공식적인 수교를 맺었다.

 

그는 1세대 유학생으로 2001년 ‘베트남을 사랑하는 모임’을 결성해 10년간 총무로 부산을 방문하는 베트남 학자, 고위 공무원들과 밥을 먹고 선물을 나누면서 교류활동을 했다.

 

베트남 문학 작품 번역가으로도 이름이 난 교수 배양수는 계묘년(癸卯年) 신년을 맞아 아세안익스프레스에 베트남 단편소설 6편과 르포 1편 등 7작품을 번역해 소개했다.  베트남 단편소설을 집중적으로 단기간에 소개한 한국에서 처음 시도된 이 기획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베트남 현지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스엉응웻밍의 단편소설 <열세 번째 나루(Mười ba bến nước)>,  도티투히엔의 <여행자의 전설>,  쩐반뚜언의 <이웃(HÀNG XÓM)>, 낌녓의 <천지가 진동할 얘기(Chuyện Động Trời)>,  응웬 후이 티엡의 <옛사람들(Những người muôn năm cũ)>,  응웬 타이 하이의 <생쥐 띠의 실종(Tí chuột mất tích)> 등 6편이고 마지막으로 밍쭈엔(Minh Chuyen) 작가의 르포 <숨겨진 상처>가 그것.

 

“베트남의 먼지까지도 사랑한다”는 배 교수으로부터 이번 신년기획의 의미와 주위의 반응 그리고 앞으로 계획 등을 물어봤다.

 

■ 한국 미디어 최초로 베트남 단편소설 6-르포 1 작품 완역해 발표 주목

 

Q. 아세안익스프레스에서 신년 기획으로 배양수 교수의 도움으로 베트남 단편소설 6개와 리포 1개 등 7개 문학 작품을 한국 미디어 최초로 완역해 발표했다. 이 작품 발표한 이후 주변의 반응을 듣고 싶다. 베트남에서도 이 소식에 대한 작가나 지인들의 반응은 어땠나?

 

A. 이제는 SNS(소셜네트워크)를 통해서 공간의 제약 없이 거의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시대다. 베트남 사람들은 주로 페이스북을 많이 이용한다. 이번에 발표된 단편을 페이스북에 올리면 많은 베트남 작가들이 바로 본다,

 

 

반응도 빠르다. 한 작가는 집안 식구들에게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실린 내용을 보냈고, “집안 경사처럼 기뻤다”고 했다. “가문의 영광”이라고도 했다.

 

어제는 메신저를 통해서 한 시인이 “지난해에 출판한 베트남 시집을 알고 있다”며, “이메일로 자기 시집을 보낼 테니 번역해달라”고 연락이 왔다. 그리고 번역료 등을 물어왔다. “대부분 작품은 내가 좋아서 번역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제가 번역하는 첫 번째 조건은 ‘제가 좋아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이런 청탁(?)을 여러 번 받았다. 어떤 분은 책을 직접 우편으로 보내오기도 하고, 한국을 방문할 때 가져오기도 한다. 그래서 나는 베트남 시집 수십 권을 갖고 있다. 그분들에게 죄송한 것은 내 능력 부족으로 그분들의 요구를 거의 들어줄 수 없다는 것이다.

 

■  대부분 2000년 이전에 발표된 소설...소수민족-청소년-고엽제 등 베트남 이해 도움

 

Q. 이번처럼 베트남 문학 작품이 한국에 대대적으로 소개된 적이 있나? 교수님이 생각하는 이번 기획의 의미와 특별한 포인트가 있으면 소개해달라.

 

A. <아시아>라는 잡지에서 베트남 문학을 많이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처럼 베트남 단편소설을 집중적으로 단기간에 소개한 적은 없는 것 같다.

 

 

이번 기획의 의미는 한국 독자들에게 베트남의 다양한 단편을 소개해서 베트남 사람들과 베트남 문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이제 베트남이 ‘도이머이’(개방)를 천명한 지 40년이 다 돼 간다. 이번에 소개한 작품은 대부분 2000년 이전에 발표된 소설이다. 도이머이 초기의 베트남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남부와 북부, 소수 종족의 단편도 소개했다. 특히 1973년에 발표된 남베트남의 청소년 소설과 고엽제 후유증에 관한 르포 기사는 우리가 잘 몰랐던 얘기를 들려준다.

 

■ “베트남 단편소설의 왕” 응웬 후이 티엡이 직접 초상화 그려줘

 

Q. 교수님은 이번 기획에서 ‘20세기 최고의 베트남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된 응웬 후이 티엡도 번역했다. 이 작가가 별세할 때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추도사를 쓰기도 했다. 이 작가와의 특별한 인연을 소개해달라.

 

A. 응웬 후이 티엡은 “베트남 단편소설의 왕”이라고 불린다. 개방 초기에 그의 이름과 작품을 들어서 알고 있었으나 당시에는 내가 문학을 연구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다가 2000년 겨울 방학 때 하노이에 머물고 있었는데, 하노이 사범대 현대문학을 전공하는 교수님의 소개로 그의 집에서 처음 만났다. 그 후로 개인적으로 두세 번 만났고, 한 번은 그와 같이 하이퐁과 타이빙성을 방문하여 여러 문인과 교류했다. 초기의 만남에서 인터뷰를 했고, 비디오로 녹화하기도 했다. 나는 이 녹화 영상을 가지고 있다.

 

그는 “원고료만으로 먹고사는 작가는 오직 자기밖에는 없다”라고 단언할 정도로 자부심이 강했다. 그는 <퇴역장군>을 쓰고 일약 스타가 됐지만, 그로 인해 치른 대가도 만만치 않았다. 가택 수색도 당했고, 한동안 글을 쓰지 않고 식당을 운영하였고, 울분을 삭이기 위해 불상 조각에 전념하여 마당에 설치해 놓기도 했다.

 

그는 자기 작품을 영화로 만드는 일에 아주 관심이 많았다. 당시 한류가 막 시작된 때라 한국 영화감독에 관심을 두고 나에게 소개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었다. <퇴역장군>, <향수>, <벌목꾼>, <어머니의 심혼> 등이 영화로 제작되었다.  

 

 

한 번은 그가 여러 작가와 같이 하노이의 호안끼엠 호수 근처의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메모지에 내 모습을 그려 주었다.

 

■ 번역하는 기준요? “아무리 좋은 작품 평가받아도 내가 좋아해야 한다”

 

Q. 이번 기획의 작가들은 응웬 후이 같은 최고 작가뿐만이 아니라 소수민족을 다루는 작가, 청소년 소재나 고엽제 등을 다루는 작가들과 소재와 깊이도 다양하다. 이번 번역 작업의 선정 기준이나 의미는?

 

A. 앞에서도 말했지만, 첫 번째 기준은 내가 좋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내가 읽고 감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 번역 기준에 대해서 많은 베트남 작가가 궁금해한다. 그럴 때마다 나는 그렇게 말했다. 아무리 좋은 작품이라고 평가를 받아도 내가 이해하지 못하면 번역하지 않는다.

 

당연하다. 이것은 온전히 내 개인적인 기준이다. 1975년 남부의 청소년 단편, 소수 종족의 단편, 사이공에 사는 서민들의 갈등과 성공한 도시 생활을 꿈꾸는 농촌 처녀의 고달픈 삶 등을 베트남의 다양한 모습 그리고 여전히 계속되는 전쟁의 후유증...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의 삶도 기록적 경제 성장을 구가하는 베트남의 한 모습이라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베트남 현인그룹’의 멤버 활동...."베트남 문학을 한국에 더 많이 소개되었으면"

 

Q. ‘베트남 유학생 1호’인 배 교수는 지난해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을 맞아 여러 활동을 했다. 그 중 하나가 한-베트남 관계의 미래 발전 비전에 대한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베트남 현인그룹’의 멤버로도 활동했다. 개인적인 소회를 들려달라.

 

A. 여기에서 저는 사회, 문화 분야를 담당했다. 범위가 워낙 넓어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다만 지난 30년 동안 한국과 베트남이 사회-문화 분야에서도 크게 발전했고, 향후 더 긴밀한 관계를 맺어나가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주제를 더 발굴해서 실천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과 그 중 하나는 베트남 문학을 국내에 더 많이 소개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베트남에서 생활하는 한-베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학비 지원, 한국어 교사 자격증을 가진 베트남 유학생에 대한 베트남 초중고에서의 한국어 교사 임용 문제 등에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드라마와 영화, K-POP 같은 분야에서 양국 간 균형 문제를 많이 제기하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관련분야 전문가들 간 워크숍을 통한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라고 하고 싶다. 한-베 합작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했지만, 국내에서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무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도 쉬운 문제가 아니지만, 베트남 문학 작품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일에는 우리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예산 대비 효과가 클 것이다. 이유는 베트남 작가들은 여론 주도층이기 때문이다.

 

■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을 맞아 베트남 시인 58명 작품 번역

 

Q.  교수님은 또한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을 맞아 베트남 시인들의 58명의 작품을 번역해 <시인>이라는 책도 출간했다. 이 책에 대한 개인적인 의미는?

 

 

A. 20년 전부터 베트남 시에 관심을 두고 가끔 번역을 해왔다. 그렇게 모은 것이 책이 한 권 될 정도로 많아졌다. 그래서 출판하게 됐다. 1940년대부터 지금까지 발표된 시를 골고루 소개하고자 했다. 그 중 상당수는 초중고 교과서에 실린 시다. 물론 소개된 시 전체가 베트남 시단을 대표하는 시는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시인들의 시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정말 시를 사랑한다. 매년 정월 대보름에는 “베트남 시가의 날” 행사를 전국적으로 펼친다. 2003년부터다. 올해는 그동안 코로나19로 하지 못했던 행사를 아주 대대적으로 개최했다.

 

 

Q. 앞으로 베트남 MZ세대(2020년대 기준으로 20대 후반~40대 초반에 해당하는 밀레니얼세대(M세대)와 10대 초반~20대 중반에 해당하는 Z세대) 등 젊은 작가들을 소개하고 싶은 생각은 없나? 그리고 희곡이나 시나리오 등 다른 장르도 소개하고 싶나?

 

A. 그렇게 됐으면 좋겠다. 그러나 지금의 제 능력으로는 그렇게 장르를 넓혀갈 수는 없을 것 같다. MZ세대의 시나 단편을 소개할 기회가 있을 것 같다. <시인>에 소개된 시 중에는 20년 전에는 젊은 세대 속했던 작품도 있다.

 

■ 부산외대 베트남학과 28년째 재직...“약 250명 졸업생 맹활약 보람”

 

Q. 부산외대서 베트남학과 교수로 몇 년 재직했나? 교수 시절 가장 보람이 있는 일은?


A. 부산외대는 베트남어과가 개설된지 30년 정도 됐다. 지금 약 250명의 부산외대 베트남어과 졸업생들이 베트남 각지에서 살고 있다. 대부분 한국 투자기업에 근무하고 있고, 개인 사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하다. 

 

 

부산외대에는 1995년 3월부터 근무했으니 올해로 28년째다. 보람이 있는 일보다는 감사한 일이 많았다고 하고 싶다.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면서 그 부족을 메우려고 노력했다. 부산외대 베트남어 졸업생들이 가장 경쟁력이 있다는 말을 들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 물론 한국과 베트남에 알고 지낸 분들의 도움에 늘 감사한다.

 

Q. 정년이 몇 년 안 남았다. 정년 퇴직 후 베트남 전국 철도 여행 등 계획은?

 

A. 내 꿈은 베트남 각 성을 다니면서 그 성 출신 문인들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 싶었다. 정년을 앞두면서 그것은 거의 이루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전국 철도 여행은 여건이 허락한다면 꼭 해보고자 한다.

 

■ 경제발전의 상징 늘 공사 중...“나는 베트남의 먼지까지도 사랑한다”

 

Q. 한 인터뷰에서 “나는 베트남의 먼지까지도 사랑한다”고 했다. 배 교수님에게 베트남은 어떤 의미인가?

 

A. 1988년 10월 처음 베트남을 방문한 이후로 정말 많이 베트남을 다녔다. 나는 베트남의 경제 성장, 발전하는 모습을 눈으로 직접 본 외국인이다. 개방 초기 3개월 베트남에 머물다 귀국하고, 한 달 후에 베트남을 가면 그 한 달 사이의 변화가 눈에 들어왔다. 그리고 3개월 후 귀국할 때 또 변화된 모습을 보았다. 그렇게 빠르게 겉모습이 변해갔다.

 

경제수도로 불리는 호찌민시와 비교해 수도 하노이 겉모습은 많이 뒤져 있었다. 경제 사정이 좋아지면서 일반인도 집을 수리하거나 증축하느라 온 시내가 공사판 같은 분위기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예전에는 오토바이 매연보다 공사판 먼지가 더 많았다. 매번 노이바이 공항에서 택시를 타고 시내로 가면, 저 멀리서 먼지 날리는 하노이 시내가 보인다. 경제개발의 상징처럼... 그래서 뚜오이째 신문과 인터뷰하면서 “베트남의 먼지까지도 사랑한다.”라는 표현을 썼다.

 

 

[배양수 교수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음식은?]

 

▲ 베트남에서 가장 좋아하는 인물은?

 

내가 교류하는 많은 베트남 사람을 다 좋아한다. 특히 나의 지도교수인 당타잉레 교수님을 좋아한다. 돌아가셨지만 그분을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진다. 그분은 내가 문학 전공임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유명한 언어학자인 호찌민 인문사회대의 까오수언하오 교수님, 하노이 인문사회대 응웬따이껀 교수님에게 직접 편지로, 전화로 연락해서 수업을 받게 해주셨다.

 

 

한 번은 교육부 차관을 소개해준다며 같이 가자고 했다. 선물이 없다고 하니 당신이 받은 선물을 꺼내며 나는 괜찮으니 이것을 가져가라고 했다. 그때 이런 방법도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베트남 손님들이 부산에 왔을 때, 선물이 부족하면 내가 받았던 선물을 드리도록 한 적도 있다.

 

당신이 지도하던 가난한 학생들에게는 경제적인 도움도 마다하지 않던, 그러나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에 대해서는 매우 엄격했던 분이셨다. 그래서 우리는 그분을 “국모”라고 불렀다.

 

▲ 베트남 음식 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

 

보통 한국인 입맛에 맞는 것은 분짜, 퍼, 월남쌈 등인데, 베트남 서민 음식 중에서 좋아하는 음식은 <러우제>라고 해서 염소 고기 전골이다. 염소 고기와 각종 채소, 버섯, 두부 등을 넣고 끓이면서 먹는 음식으로 개방 초기에는 서민들이 많이 이용했고, 규모가 큰 식당도 많았다. 서울에, 한국에 처음 생긴 베트남 음식점도 이 염소 전골을 파는 식당으로 <라우제>라고 있었다.

 

 

▲ 베트남 문화 중 최고라고 꼽고 싶은 것은?

 

“정감(띵깜)의 문화”라고 하고 싶다. 베트남에는 “첫째는 친분, 둘째는 안면, 셋째는 권력, 넷째는 제도”라는 속담이 있다. 이 말은 관계에서 무엇보다도 친한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는 권력과 제도보다 앞선다.

 

아마도 서양 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다. 나는 충분히 이해하고, 또한 친분, 정감의 혜택을 많이 보았다. 소통이 잘 된다면 베트남 사람과 한국 사람은 잘 통할 수 있다. 비록 그것이 때로는 비합리적이라도. 비합리적이지만 정감을 통해 일이 풀릴 때 나는 베트남이 좋고, 베트남 사람이 좋다.

 

 

 

배양수 교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과를 졸업하고, 하노이사범대학교 어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트남 문학작품인 『끼에우전』과 한국의 『춘향전』을 비교한 석사학위논문은 베트남 현지에서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하노이사범대학교 어문학과에서 100번째로 박사학위를 받은 자본주의권 출신의 외국인이라는 이례적인 기록도 가지고 있다.

 

 

1995년부터 부산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베트남 문화의 즐거움 』, 『중고등학교 베트남어 교과서』, 등의 저서와 『시인 강을 건너다』, 『하얀 아오자이』, 『베트남 베트남 사람들』, 『정부음곡』, 『춘향전』 등의 번역서가 있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