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라켈 초아 필리핀 ‘초콜릿 챔버’ 대표 “막내아들은 카카오 아티스트”

‘세계 초콜릿의 날’ 맞아 주한 필리핀대사관 북촌서 ‘락고재’서 초콜릿 파티

 

필리핀의 세부(Cebu) 초콜릿 퀸(Chocolate Queen) 라켈 초아(Ms. Raquel Choa)는 카카오 물감으로 염색을 한 옷을 입었다.

 

그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을 시연했다. 그리고 특별한 음식재료를 만드는 법도 보여주었다. 일곱째 딸은 옆에서 시연을 도왔고, 여섯째 아들은 사진을 찍었다. ‘카카오아티스트’ 막내는 카카오 재료로 그린 그림을 전시했다.

 

매년 7월 7일은 ‘초콜릿의 날’이다. 유럽에서 초콜릿을 도입된 것을 기념해 2009년 제정되었다. 주한필리핀 대사관은 7월 7일 ‘세계 초콜릿의 날’과 ‘한국-필리핀 수교 75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서울 종로구 북촌로 11길 16 락고재 문화라운지에서 특별한 파티를 열었다.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H.E. Theresa Dizon-De Vega) 주한 필리핀 대사가 60여명의 초대손님을 맞이했다. 60여명의 초대손님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리핀 초콜릿과 재료가 들어간 음식을 맛보고 스토리텔링에 푹 빠졌다.

 

■세계 초콜릿의 날...유엔서 임명한 초콜릿 대사 라켈 초아 초대

 

초콜릿에 관한 기념일은 대표적인 것이 발렌타인데이다. 그리고 미국 다크초콜릿의 날, 밀크초콜릿의 날, 한국의 빼빼로데이 등 전세계적으로 많다.

 

그런데 왜 필리핀의 초콜릿은 주목을 받은 것일까? 7월 7일 ‘세계 초콜릿의 날’ 이날 행사의 주인공인 라켈 초아는 유엔(UN)에서 임명한 초콜릿 대사다. 필리핀 ‘초콜릿 챔버’의 소유주이자 소유주이기도 했다.

 

 

필리핀에서 초콜릿은 105년 전에 아시아에서 첫 번째로 재배를 했다는 것이 정설로 남아있다. 하지만 라켈 초아는 이를 15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을 소개했다. 마닐라에서 카카오 재배를 해온 방식이 있었다.

 

라켈 초아는 필리핀의 카카오 스토리를 가장 아는 사람 중 하나다. 그의 가족은 카카오 패밀리해도 좋을 만하다. 서양식 초콜릿 방식이 아닌 대대로 내려온 방식 말이다.

 

그는 “옛날부터 할머니로부터 카카오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듣고 자랐다. 그리고 막내 아들이 2살 때 카카오 사업을 시작했다. 이제 딸은 카카오 사업을 이어받아 배우고 있고, 막내 아들은 카카오 아티스트로 카카오 재료로 그림을 그린다”고 말했다.

 

 

■ “산간지방 7살에 시작한 초콜릿의 여정...카카오가 초콜릿의 원료인지도 몰랐다”

 

“7살 때 처음 이런 초콜릿의 여정을 시작했다”는 그의 스토리는 흥미진진했다.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라켈 초아 대표의 현대식 공장 생산 방식이 아닌 전통적 방식의 초콜릿 만들기 시연이었다. 그는 북촌 한옥마을 ‘락고재 문화라운지’ 한옥 방에서 마당에서 지켜보는 초대를 받은 사람들 앞에서 카카오스토리를 풀어냈다.

 

 

그는 산간지방에서 살았다. 그때 전기도 들어오지 않았다. 학교에 가려면 7개의 강을 건너야했다. 뭐든지 마시지 않고서는 힘을 내고 거기까지 갈 수가 없었다.

 

그는 “제가 산에 도착했을 때 카카오 나무가 수백 그루 있었다. 당시에는 카카오가 초콜릿의 원료인지를 몰랐다. 6일 정도는 산에 머물러서 만드는 그런 작업을 거쳤다. 절구통이나 이런 것들이 훨씬 더 큰 장비가 필요했다. 학교 가기 전에 늘 항상 물을 끓여서 이 타블레타를 만들고 이제 약간 쓴맛이 나는 그 물을 만들었다”

 

 

그는 한옥집 방에서 초대자들앞에서 작은 절구통에 카카오 열매를 빻았다. 그리고 앞에 있는 사람들에게 냄새를 맡아보라고 권했다. 전기도 없는 시절, 할머니로부터 배운 것처럼 그렇게 빻아 만들어 보였다.

 

그는 “처음에는 오일이 좀 나오기 시작한다. 그리고 카카오에서 몰드 안에 이제 나중에 넣게 된다. 카카오 타블렛이다. 제가 막내를 출산할 때 카카오가 초콜릿의 원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아들이 이제 카카오 아티스트다”고 웃었다.

 

■ 공장 생산 방식이 아닌 전통적 방식의 초콜릿 만들기 시연 ‘시선집중’

 

그는 “제가 시연하는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은 전통적인 방식이다. 이것은 스페인의 방식이기는 한데 멕시코의 영향도 받은 것이다”라고 소개했다.

 

 

먼저 카카오잎을 절구 같은 곳에 넣어 빻았다. 잎 자체에 버터가 좀 들어 있어 다 빻고 나면 페이스트 같은 형태로 남게 된다.

 

그렇게 필리핀 전통 방식으로 초콜릿을 만들었다. 카카오로 볼레로도 만들어냈다. 잘 뭉쳐지지 않으면 버터가 잘 나오지 않는다. 이게 오랜 전통적인 방법이다.

 

라켈 초아는 선조들이 했던 방식을 잊지 않으려고 사람들에게 시연을 해준다. 어렸을 때 이 카카오를 계속 섭취를 하고 하면서도 초콜릿의 원료인지도 몰랐다. 이제는 카카오가 이 초콜릿의 원료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것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되었다.

 

■ 전통에다 혁신 ‘UN 초콜릿 대사’ 임명...이제 요리재료로도 쓴다

 

물론 이제 공장에서는 이런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만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다 혁신을 했다. 요리 재료로 쓰도록 했다. 볼레로를 샌드위치나 파스타나 피자나 이런 것들을 올려서 먹을 수 있다.

 

“초콜릿 열매를 갈아서 물처럼 만든 다음에 이런 도구로 사용을 하고, 아트를 만드는 도구로 사용을 하고, 실제로 캔을 만들어 마시기도 하고, 전통적으로는 원래 음료로 이제 카카오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는 “2016년에 제가 초콜릿 대사로 유엔에서 임명되었다. 그때 처음으로 이제 뉴욕에 갔고, 마리아 대사를 거기 처음 만나게 되었다. 제가 이런 우리가 이미 초콜릿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들을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

 

감사하게도 필리핀 대사관이나 멕시코 대사관이나 베네수엘라 대사관이나 이런 것들에 대해서 많이 도와주었다.

 

그는 “이제 카카오 농장이나 사실 여기에 이런 산업에 얽힌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이제 카카오에 얽힌 그런 선물이라든지 스티릿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많이 알리려고 하고 있다”고 유엔 초콜릿 홍보대사다운 말을 했다. 행사장에 준비된 음식들도 “볼레로를 직접 갈아서 풍미를 더했으니 풍미를 보라”고 권했다.

 

■ 마리아 대사 “올해가 한국과 필리핀이 수교를 맺은 지 75주년 축하”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 대사는 “오늘 이렇게 특별한 이벤트에 참석을 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린다”며 세 가지의 기념을 기억하자고 했다.

 

 

우선 “올해는 한국과 필리핀이 수교를 맺은 지 75주년이 되는 해다. 한국과 필리핀이 수교를 맺은 날이 1949년 3월 3일이다. 한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수교를 다섯 번째 맺은 나라가 필리핀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필리핀은 한국전쟁 참전을 해서 이제 같이 한국 국민들과 싸웠다. 그리고 7월 7일이 또 세계 초콜릿의 날이다. 필리핀의 초콜릿을 소개를 하고 필리핀 카카오의 스토리를 흥미진진 들은 날이다”라고 강조했다.

 

 

행사장에서는 필리핀 초콜릿 제조과정, 각 종류와 다양한 형태의 필리핀 초콜릿을 즐기는 파티도 이어졌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