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해외지역 연구자의 경험은 어떻게 다른가”
지구를 누빈 현장연구 여성 전문가 12인의 열정과 공감의 연구기록이 책 ‘여성연구자, 선을 넘다’으로 나왔다. 이 책은 ‘아시아의 오늘을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여성들의 집단 글쓰기가 가진 힘을 집결해서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 책의 공동저자 중 하나인 엄은희 박사가 인도네시아 한인회가 주최하는 제68회 열린강좌에서 특강을 한다. 장소는 자카르타 한인니문화연구원(코리아센터 1층)고, 시간은 2월 22일 토요일(10:00~12:30)에서 연다. 이 특강은 한인니문화연구원과 서울대 VIP 연구단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 “연구자와 활동가 사이에서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은 큰 숙제”
“현지조사 중인 참여관찰자로서 그 대화의 장면을 목도한 순간, 나는 내 현지조사의 가장 중요한 장면에 입회했다는 짜릿함을 느꼈다. 하지만 동시에 그런 생각을 한 나 자신이 부끄러워지기도 했다. 나는 주민의 일부로 현장에 잠입했고, 이미 주민과 반광산연대를 지지하는 편에 서 있었다.
현실의 사회문제에서 나는 대체로 약자의 편에 서고자 노력하는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선악이 선명히 구분되기보다 복잡한 이해관계들이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사회과학자로서 현안을 연구주제로 삼을 때마다 늘 고민에 빠진다. ‘저항의 기록’을 수행하는 순간, 연구자와 활동가 사이에서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지역연구자들에게 큰 숙제임이 틀림없다.”
-엄은희, 개발의 현장에서 함께 싸우고 기록하다: 필리핀에서의 불의 세례 현지조사 중에서
엄은희 박사는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지리학 박사이자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지리교육 학사(2000년)와 환경교육학 석사(2002년)를 마치고, 2008년에 동대학원에서 다국적기업에 의한 필리핀의 광산개발과 그에 저항하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지리-환경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주제는 동남아의 환경문제, 도시화, 국제개발협력, 해외 한인기업과 한인사회 등이다. 그리고 필리핀-메콩 등 동남아의 환경문제, 도시화 탐구에도 천착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공정무역 생산자의 조직화와 국제적 관계망: 필리핀 마스코바도 생산자 조직을 사례로”, “메콩의 에너지 경관 : 메콩 지역 수력 경로의 형성과 변화”,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공저) 등과 저서로 『말레이세계로 간 한국 기업들』(공저), 『개발도상국과 국제개발』(공역), 『흑설탕이 아니라 마스코바도』 등이 있다.
■ 한인니문화연구원, 이지혁 박사-권영주 박사 등 열린 강좌
한인니문화연구원에서는 지난 1월 4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인 이지혁 박사가 ‘인도네시아 정치의 다이나믹스’라는 주제로 66회 열린 강좌를 연 바 있다.
67회는 1월 18일 권영주 고전문학박사의 ‘한중일 도자기 전쟁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라는 강좌가 열렸다.
한편 책 ‘여성연구자, 선을 넘다’ 발간에 맞춰 공저자들인 한국의 내로라 하는 여성 해외지역연구자들은 지난 1월 31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북토크를 열었다.
엄은희 박사를 비롯 지은숙, 임안나, 장정아, 육수현, 노고운, 채현정, 최영래, 정이나, 김희경, 구기연, 홍문숙 총 12명의 각 분야 탁월한 업적을 쌓아가는 여성 전문가 박사들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