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포커스] 동아대 아세안연구소 ‘2021년 뒤돌아보는 미얀마’ 각별한 이유

26일 온라인 2021년 연례학술대회...마이트리 아웅뜨윙 교수 등 참석 '미얀마연구소' 결성

 

 

동아대 아세안연구소가 ‘2021년 뒤돌아보는 미얀마’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를 11월 26일 열었다.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다시 정치에 개입했다. 민주 진영에서는 그것을 곧장 군부 쿠데타라고 규정했다. 군부는 2008년 헌법에 따른 비상사태 선포라며 이를 정당한 개입이라 주장했다.

 

국민의 반응은 이전과는 달랐다. 군부 재진입에 대하여 소수가 아닌 전국적 규모의 거센 반발과 항거가 일어났다. 이에 국내외 모두가 놀랐다.

 

2020년 11월 총선거에서 NLD가 다시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제2기 민주정부의 출범을 코앞에 두고 있었던 시점에서 다시 군부 지배로 회귀했다는 사실은 미얀마를 연구하는 한국 학자들에게도 무척 안타까운 일이었다.

 

동아대 아세안연구소가 2021년 학술대회의 주제를 ‘2021년 되돌아보는 미얀마’로 정한 이유다. 미얀마의 다산다난했던 역사적 장면을 회고하고 향후의 전망을 살펴보는 자리는 더욱 귀하다.

 

이 학술대회는 미얀마 전문가로 알려진 학자들이 모두 모여 진솔한 견해를 나누었다. 특히 미얀마 전문가인 싱가포르국립대 마이티리 아웅뜨윙 교수를 초청하여 이번 사태에 대한 그의 생각을 들어보았다.

 

■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역사학과 '마이트리 아웅뜨윙' 교수의 특별강연

 

한국의 다양한 학문 분야의 미얀마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온라인으로 개최된 학술대회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역사학과 마이트리 아웅뜨윙 교수의 특별강연 ‘미얀마 현대사 속의 위기와 커뮤니티’를 시작되었다.

 

 

세션1에서 정치, 국제관계 및 국제개발협력의 차원에서 미얀마 사태의 현황에 대해 박장식 동아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주제발표는 장준영(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 연구교수)-‘군부 권위주의로 회귀하는 미얀마: 민간-군부 관계로 본 쿠데타의 역동성’, 김희숙(전북대 동남아연구소 전임연구원)-‘쿠데타 국면 미얀마를 둘러싼 미-중 관계와 아세안의 역할’, 홍문숙(부산외대 국제개발전공 교수) -‘2021년 미얀마 위기와 중견국 국제개발협력의 복합지정학’ 등으로 이어졌다.

 

세션2에서는 ‘미얀마의 과거, 현재, 미래’로 동아대 이진아 교수가 좌장으로 진행되었다.

 

김형종(연세대 미래캠퍼스 국제관계학과 교수)-‘미얀마 사태에 대한 아세안 역할의 한계와 가능성’, 오윤아(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미얀마 10년의 개혁: 경제 분야 성과와 한계’, 박장식(동아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화폐에 드러나는 미얀마의 정치경제적 변동’ 등 미얀마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정치경제적 변동을 중심으로 다양한 견해와 전망을 들려주었다.

 

 

세션1이 끝난 직후 미얀마 양곤대의 천기홍 교수미얀마 뉴스 매체인 애드쇼파르(AD Shofar)의 전창준 대표의 미얀마 현지의 상황을 전해 듣는 시간을 가지기도 하였다.

 

■ 학술대회, 많은 이들이 참가하여 성황...미얀마연구회 결성 연구 계속

 

군부가 총선 결과를 부정하면서 쿠데타를 자행한 이후 10개월이 지난 현재 미얀마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이번 학술대회에는 많은 이들이 참가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박장식 아세안연구소 교수는 “202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의 정치적 개입에 대한 미얀마 국민의 반발 및 희생에 대해 깊은 유감”이라며 오랜 시간 미얀마 지역연구를 이끌어 온 학자로서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이어 “현시점에서 미얀마의 역사적 장면을 회고하고 향후의 전망을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미얀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미얀마연구회를 결성하고 향후 학자들이 더욱 심도 있는 미얀마 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학술대회 행사는 동아대 아세안연구소가 주최하고 동아대학교 인문역량강화사업단과 (주) JL Science가 후원했다.

 

한편 해외주민운동연대(KOCO)에 따르면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이후, 11월 13일 기준 공식적으로 1260명이 사망했고, 1만 143명이 체포됐으며, 난민은 300만 명 이상이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