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핫피플] 김재신 사무총장 “한-아세안 대화 수립 35주년, 실질적 협력 시동”

제6대 한-아세안센터 취임, 무역·투자 협력과 회원국 다문화 가정 초청 중점

 

한-아세안센터가 5월 27일 롯데호텔서 제6대 김재신 사무총장 취임식을 가졌다. 지난 2월 개최된 제16차 한-아세안센터 연례 이사회에서 임명된 김 총장은 앞으로 3년 간 한-아세안센터를 이끌어간다.

 

취임식에는 강인선 외교부 제2차관 등 정부기관,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이 참석해 축하를 해주었다. 또한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쏭깐 루앙무닌턴 주한 라오스 대사, 모하마드 잠루니 카리드 다토대사 등 주한 외교단,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장 등 경제계, 문화계, 언론, 학계 인사 120여 명이 참석했다.

 

2024년은 한-아세안센터 창립 15주년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다. 한-아세안센터는 한-아세안 교류 협력을 전담하는 유일한 국제기구다. 그동안 한국과 아세안을 잇는 대표적 가교역할을 해왔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38년간 직업 외교관을 통해 전문성을 갖추고, 특히 아시아태평양국장-필리핀 대사를 역임하면서 아세안의 잠재력과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고 있는 신임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을 직접 만나봤다.

 

 

■ “올해는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실질적-전략적 협력 기여 최선”

 

Q. 한-아세안센터의 제6대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것을 축하한다. 이에 대한 소감 부탁한다.

 

A. 한-아세안센터에 대한 아세안익스프레스의 관심에 깊이 감사한다. 저는 지난 4월 16일부터 공식적으로 한-아세안 사무총장 임기를 시작했다.

 

아세안의 중요성과 잠재력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24년은 한-아세안센터 창립 15주년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다. 올해 10월 개최될 한-아세안 정상회담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로의 격상이 예상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한-아세안 교류·협력을 전담하는 유일한 국제기구이자 한국과 아세안을 잇는 대표적 가교역할을 해온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어 기쁨과 동시에 책임을 느끼고 있다.

 

 

38년간의 직업 외교관으로서의 저의 경험과 아세안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 아세안이 실질적-전략적 협력을 지속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또한 센터가 지난 15년간 축적해 온 성과 및 전문성, 그리고 한국과 아세안에 구축한 네트워크를 토대로 센터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한-아세안 연대구상’ 3년차...경제협력 이외에도 정치-군사-경제안보-문화 협력 강화

 

Q. 올해는 한-아세안 대화관계 35주년이 되는 해로 한-아세안 CSP 격상이 예상된다고 했다. 한국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인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이 발표된 지 3년 차가 되는 해이기도 한다.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평가와 전망 부탁드린다.

 

A. 1989년 부분대화관계 수립 이후 한-아세안 관계는 지난 35년간 빠른 속도로 확대심화되어 왔다. 이제 아세안은 한국의 제3위의 교역 상대이자 투자지역이다. 한국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지역이 되었다.

 

부연하면 1989년과 비교 시 교역은 22배 이상, 투자는 77배 이상 증가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아세안에 진출한 한국 신규 법인 수는 819개에 달한다. 2023년에는 우리 국민 800만 명 이상이 아세안을 방문했다.

 

 

아세안 회원국 중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베트남 6개국은 우리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중점협력 국가들로 전체 ODA의 24% 차지하고 있다. 주한 아세안인의 규모는 약 66만 명으로, 이중 약 10만 명이 유학생 신분으로 한국에서 학업에 정진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2022년 발표한 ‘한-아세안 연대구상’은 아세안의 인도·태평양 지역구상인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근간으로 하는 아세안에 특화된 지역정책이다. 두 정책 모두 상호 전략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특히 한국의 KASI는 경제협력 이외에도 정치, 군사, 경제안보,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는 바, 전 분야에 걸친 협력의 외연과 깊이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 동남아 지역 영향력, 중국-미국-일본-EU에 이어 5위”

 

 

Q. 한국은 동남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국가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A. 맞다. 한국은 중국, 미국, 일본, EU에 이어 5위에 올랐다. 2024년 싱가포르에 소재한 연구기관인 유소프 이샥 동남아연구소(ISEAS Yusof Ishak Institute)에서 시행한 아세안 여론주도층 대상 여론조사(The State of Southeast Asia, 2024)에서 아세안의 대화상대국 중 경제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전략적으로 동남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국가를 묻는 질문에 한국이 5위를 차지했다. 앞으로 한국의 순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본다.

 

*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

- 2022년 제23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한국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 이를 통해 아세안과 호혜적인 실질적·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자 자유·평화·번영에 기반한 8개 중점 추진 과제를 발표함

※ 한-아세안 연대구상 8대 중점 추진 과제: 1) 한-아세안 관계 격상 및 아세안 회원국과의 관계 강화, 2) 아세안 주도 메커니즘 내 한-아세안 협력 제고, 3) 한-아세안 포괄안보 협력 확대, 4) 한-아세안 전략적 공조 활성화, 5) 한-아세안 공동 번영과 발전을 위한 미래 분야 협력 확대, 6) 지역·국제적 도전과제 대응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7) 미래 번영을 이끄는 차세대 교류 증진, 8) 아세안 관련 협력기금 등 각종 협력 재원 확충

 

 

*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

- 2019년 아세안에서 발표한 아세안 차원의 역내 전략 가이드라인으로, 한국 정부는 2019년 11월 이에 대한 지지를 표명

- AOIP는 아시아-태평양과 인도양을 아세안이 중심적·전략적 역할을 하는 긴말하게 통합되고 상호연결된 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함

 

*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

- 아세안이 대화상대국과 맺는 최고 단계의 파트너십으로, 현재까지 5개국(호주, 중국, 미국, 인도, 일본)과 수립. 2023년 제24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은 아세안에 관계 격상을 제안

 

■ “무역-투자 협력 강화와 아세안 회원국 출신 다문화가정 초청 특별히 관심”

 

Q. 외교부 차관보와 주필리핀 대사 등을 통해 필리핀을 포함한 한국의 대아세안 외교 일선에서 활동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으로서 특별히 중점을 두고 싶은 목표나 사업이 있다면?

 

A. 아세안은 ‘다양성 속의 통합(Unity in Diversity, 개별국가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공동체를 지향)’을 공동체의 핵심 가치로 둔다. 그만큼 회원국 10개국 간의 정치체제, 경제발전 수준, 인종, 민족, 문화, 종교가 매우 상이하다. 또한 아세안은 아세안 문제는 아세안이 결정한다는 ‘아세안 중심성(ASEAN Centrality)’을 기반으로하고 있다. 모든 의사결정은 한 국가의 반대도 없어야 한다는 ‘ASEAN Way’라는 컨센서스 방식을 채택하여 운영되고 있다.

 

 

제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아세안과 협력 시 이러한 다양성과 작동원리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무역·투자, 문화·관광, 인적교류 등 한-아세안센터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적절성과 효과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특별히 중점을 두고 싶은 목표나 사업으로는 첫째, 2022년 제주도에 ‘아세안 홀’을 개관하며 센터의 물리적 범위를 서울에서 제주도로 확장한 바 있는데, 무역·투자 분야에서도 유사한 사업이나 기회가 있을지 모색하고자 한다.

 

둘째, 한-아세안 간 포괄적 분야에의 협력이 지속 발전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정확한 인식과 존중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제고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해 보고 싶다. 한국에 거주하는 아세안 회원국 국민들이 느끼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아세안에 있는 아세안 회원국 국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분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채워주는 역할을 센터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서로를 진정으로 신뢰하고 좋아하는 관계로 가기 위해서 센터의 아세안위크 사업 등에 아세안 회원국 출신의 근로자와 다문화 가정을 초청하여 우리의 호감과 온기를 전달하고 진심으로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도록 하겠다.

 

■ “벌써 창립 15주년, 11월 ‘한-아세안 관계조망 국제회의’ 주목해달라”

 

 

Q. 올해는 한-아세안센터 창립 15주년이다. 그동안 센터의 역할 및 활동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 특히 ‘한-아세안 관계 조망 국제회의’가 올해 프로그램 중 눈에 띈다. 이 회의에 대해 소개해달라.

 

A. 한-아세안센터는 2009년 아세안 10개국과 대한민국 정부가 한-아세안 대화관계수립 20주년을 기념하고 지속적이고 진정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출범했다.

 

△한국 및 아세안과의 다층적인 정기 협의체 운영, △아세안 공무원의 센터 근무 제도, △15년간 축적된 한국과 10개 아세안 회원국의 정부, 기업, 문화·관광, 학계, 언론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과 아세안 간 공동의 수요에 기반한 실질적인 사업을 발굴·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아세안 측으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각 부문을 살펴보면 무역투자에서는 △ ESG, 전기차, 스타트업, 게임 등 신성장산업 협력도 추진 △아세안 연계성, 디지털변환, FTA 등 역내 주요 경제이슈에 대한 담론을 형성 △무역전시, 투자단 파견 통해 무역투자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문화관광 부문에서는 △ 아세안 위크 개최, 문화관광 홍보부스 설치, 서울 및 제주 아세안홀 운영을 통해 아세안의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인식을 제고 △한-아세안 관광 전문가 간 교류협력 활성화 및 역량강화를 지원했다.

 

 

인적교류·홍보에서는 △한-아세안 협력의 미래 주역인 양 지역 청년 간 상호이해 심화, △주한 아세안 유학생 및 교수 지원을 통해 차세대 주역과의 소통 강화, △언론, SNS 등 미디어 홍보를 통한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특히 올해는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 및 한-아세안센터 설립 15주년 기념 특별사업으로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하는 ‘한-아세안 관계조망 국제회의’(2024.11.7, 서울 롯데호텔)를 개최한다.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의 외교장관, 아세안 사무총장, 정부-학계·언론계 관계자가 참석하여, 한-아세안 관계 관련 적합한 의제를 형성하는 한편,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

 

■ 아세안 의장국인 라오스와 연계, ‘아세안 연계성 포럼’‘한-아세안 청년 네트워크 워크숍’

 

Q. 2024년 아세안 의장국인 라오스는 ‘연계성과 회복탄력성 강화(Enhancing Connectivity and Resilience)’를 올해의 주제로 발표했다. 이와 관련된 센터 주 사업을 소개해달라.

 

A. 라오스는 올해 아세안 의장국 수임 주제로 ‘연계성과 회복탄력성 강화’를 발표하며, 아세안의 방향성을 경제 회복과 성장에 방점을 두었다.

 

 

※ 2023년 아세안 의장국 인도네시아의 의장국 수임 주제 :‘아세안의 중요성: 성장의 중심(ASEAN Matters: Epicentrum of Growth)’

 

* 회복탄력성 강화와 관련, 라오스는 5가지 우선순위 선정

① ‘2045 아세안공동체 비전’ 이행을 위한 전략 계획 성안

② 아세안 중심성 증진

③ 환경협력 증진-기후변화 복원력 강화

④ 여성과 아동 역량 강화-아세안의 행동주의 전환을 지향하는 여성과 아동 역할 증진

⑤ 보건-새로운 맥락에서 아세안 보건 개발 복원력 증진

 

아세안의 올해의 주제인 ‘연계성’과 관련하여 직접 관련성이 있는 사업으로는 센터의 주력사업으로 자리잡은 ‘아세안 연계성 포럼’이 있다. 동 포럼은 아세안 연계성 추진 현황을 공유하는 한편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기반한 아세안 연계성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아세안은 지난 2010년 아세안 경제공동체의 단일시장·단일생산지 실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계성 마스터 플랜 2025(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2025)’를 수립하고, 아세안 통합을 위한 5대 전략(△지속가능한 인프라, △디지털 혁신, △원활한 교류망, △효과적인 규제, △인적 이동)과 시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올해 센터의 중점사업 중 하나인 ‘한-아세안 청년 네트워크 워크숍’의 경우 의장국인 라오스와 협의하여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는 한-아세안 파트너십 구축: 디지털화 및 기후변화 협력에 대한 청년 리더십에 귀 기울이기’를 테마로 선정하여 진행 예정이다. 디지털을 통한 연계성 강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협력 증진이 포함된 사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주 필리핀 대사 재임 당시 한식 접대...필리핀 내 많은 한국식당 평가 기억”

 

Q. 38년간의 직업 외교관으로서 외교부 일선에서 활약했다. 개인적으로 잊을 수 없는 에피소드과 가장 좋아하는 아세안 음식과 힐링 휴가지를 소개해달라.

 

 

A. 개인적으로 대사관저에서 대접한 한식 음식이 필리핀 고위인사들에게 좋은 평을 받은 것이 기억에 남아 있다.

 

주 필리핀 대사 재임 당시 대사관저에 많은 손님들을 초대하여 한식 식사를 대접했다. 특히 음식 중 사과의 윗부분을 잘라 사과 속살을 긁어낸 후 크림스프를 넣은 후 잘라냈던 윗부분을 뚜껑과 같이 덮어 대접했다. 이 사과스프가 모두에게 인상적이라는 평을 들었다.

 

필리핀 부통령, 상원의장, 외교장관 등 손님들이 “한국 대사 관저가 필리핀 내 많은 한국식당 가운데 최고의 식당”이라고 칭찬했던 게 특히 기억에 남는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주 필리핀 대사 시절의 기억이 많이 떠오른다. 대체로 필리핀 현지 음식이 입에 맞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신맛이 강한 필리핀 국민음식 ‘시니강(Sinigang)’이라는 타마린드로 만든 국물 요리와 우리나라의 곰탕과 유사하고 필리핀 사람들이 보양식으로 먹는 ‘불랄로(Bulalo)’도 즐겨먹었다.

 

다만 필리핀 현지 음식 중 부화 직전의 오리알을 삶은 ‘발룻(Balut)’이라는 음식은 현지인들에게는 귀한 음식이고 즐겨 먹는다고 하는데, 저에게는 상당히 낯선 음식이었다.

 

저의 힐링 휴가지를 꼽는다면 주 필리핀 한국대사 관저의 정원이었다. 대사 관저의 정원이 상당히 넓었다. 여러 가지 수목과 화초가 어우러져 매우 아름다웠다. 관저를 거실에서 바라보거나 산책을 하다보면 마음이 평온해지고 저절로 힐링이 되었다. 그때를 생각하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필리핀, 그리고 아세안이 저에게 주는 인상과 이어지는 것 같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프로필

 

생년월일 1957. 5. 30

 

주요 학력

1979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1981 고려대학교 대학원(국제정치) 수료

1982 일본 게이오 대학 수학

2002 북경어언문화대학 수학

 

주요경력

1980. 8 외무부 입부 (80.4 제14회 외무고시)

1984~2010 주일본 대사관

주중국 대사관/ 주미국 대사관/주미얀마 대사관 근무

외교통상부 동북아국장

아시아태평양국장/ 대통령 비서실 외교비서관 역임

2010. 8 외교통상부 차관보

2012. 8 주독일 대사/ 2015. 4 주필리핀 대사

2018. 7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고문

2024. 4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

 

서훈

2008. 2 홍조근정훈장/ 2018. 1 필리핀 수교훈장/ 2018. 12 황조근정훈장

관련기사

포토리뷰